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미국 네바다주 서쪽 리노시. 시내에서 버스로 20여 분을 달리면 사막 한복판에 미국 바이오에너지 기업인 펄크럼의 폐기물 처리시설이 있다. 시간마다 대형 트럭이 와 폐기물을 쏟아부었다.
쓰레기 산더미가 처리되는 과정은 여느 폐기물 처리장과 달랐다. 이 회사는 폐기물을 태우거나 매립하지 않는다. 처리장 내 대형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과 종이를 가리지 않고 3㎝ 이하로 잘게 부순다. 부순 물질은 인근에 있는 펄크럼 시에라 공장으로 보낸다.
이후 그곳에서 산소와 증기를 주입해 물질을 분해한다. 그렇게 하면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합성가스가 생성된다. 다시 고온·고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 혼합물에 촉매반응을 일으키면 합성가스는 액화 탄화수소로 바뀐다. 이 물질은 화학적으로 자연산 원유와 비슷해 합성원유로 불린다. 합성원유를 기존의 석유정제시설에 넣으면 항공유 휘발유 경유 같은 최종 석유제품을 만들 수 있다.
펄크럼은 이 중 항공유에 집중하고 있다. 자동차 연료 시장과 달리 항공유는 항공기 중량과 추진력 때문에 전기 에너지로 대체될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다. 펄크럼은 1년 동안 생활 폐기물 50만t을 처리해 합성원유 26만 배럴을 만든다. 모두 항공유로 쓴다면 워싱턴DC에서 서울까지 100회 왕복할 수 있는 연료량이다.
합성원유는 탄소 배출이 적은 친환경 원료로 꼽힌다. 골칫거리인 생활 폐기물을 줄이고 기존 원유 사업의 필수 과정인 시추가 생략된다. 이 때문에 펄크럼은 정부 지원을 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합성원유 등 ‘지속 가능한 항공원료’(SAF)에 보조금을 주고 있다. 배럴당 1.25~1.75달러다. 에릭 프라이어 펄크럼 최고경영자(CEO)는 “정부 지원금과 공급처가 꾸준히 늘고 있어 1년 내 흑자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업성이 개선되면서 투자자도 늘고 있다. 미국 유나이티드와 일본항공(JAL), 뉴질랜드 정부가 투자를 약속했다.
한국 SK㈜와 SK이노베이션도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8000만달러(약 1040억원)를 펄크럼에 투자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증권사 대상 투자설명회에서 “합성원유를 비롯한 SAF 시장에 2244억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2026년 울산에서 SAF 상업생산을 시작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내에선 아직 합성원유를 생산할 수 없다.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현행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은 자연산 원유에서만 항공유 같은 석유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11월 한국 정부가 석유제품 원료 확대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후속 작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강동수 SK이노베이션 포트폴리오부문장은 “SAF 시장이 커지는 것에 맞춰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펄크럼과 함께 SAF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리노=정인설 워싱턴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