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7월 18일 11:09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새마을금고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국내 은행권 불안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국제 신용평가사의 분석이 나왔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발 빠르게 대처에 나서면서 진정 국면을 맞는 모양새라는 게 S&P의 판단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김대현 이사는 18일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통한 예금자들의 불안심리 완화가 리스크 전이 차단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으로 구성된 범정부 대응단을 꾸리는 등 신속한 지원 의지를 밝히면서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게 S&P의 설명이다.
새마을금고법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예금자는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예금자보호준비금을 통해 1인당 최대 5000만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유동성 자산 규모가 약 77조원(5월 기준)에 달하는 등 충분한 상환준비금을 갖춘 점도 고려됐다.
S&P는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가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다르다고 봤다.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으로 한순간에 대규모의 예금 인출이 이뤄지는 ‘디지털 뱅크런’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 것이다. 김 이사는 “새마을금고의 경우 개별 예금자의 예수금 규모가 작고 편중도가 높지 않다”며 “새마을금고 예금자의 약 94%가 5000만원 이하라는 점을 고려하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지원에 따른 시중은행의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S&P의 관측이다.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및 산업·기업은행은 새마을금고와 6조2000억원 규모의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계약을 체결했다. 새마을금고에 단기 유동성을 지원하겠다는 게 이번 조치의 핵심이다.
다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큰 상황이다. 2021년 말 1.93%에 머물던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 6월말 기준 6.2%로 높아졌다. 시중은행의 연체율 평균인 약 0.33%(3월말 기준)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다. 개별 금고가 집행한 소규모 부동산 사업장 대출이 건설 경기 악화로 빠르게 부실화된 여파다. 김 이사는 “높아진 금리 수준과 부동산 시장 위축에 따른 새마을금고의 자산건전성 부담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