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6월 22일 새벽, 강원 속초 부근 동쪽 해상에서 북한의 잠수함이 발견됐다. 당시 유자망 그물을 검사하던 어선이 잠수함을 발견했다. 조업 중인 그물에 잠수함의 스크루가 걸려 잠수함을 포획할 수 있었다.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 부근 해상에서 여객선인 세월호가 전복돼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초동 구조에 큰 역할을 한 것은 민간 어선들이다. 어선 60여 척과 어민 150여 명이 전복 소식을 듣자마자 생업을 뒤로하고 탑승자 구조활동을 펼쳤다. 어민들의 발빠른 대응으로 구조된 사람이 수십 명을 넘는다. 이 밖에 바다에서 발생하는 해난사고에서 어업인들이 선두에 나서서 구조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어촌은 군인, 해경들과 함께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육지만 영토로 생각하지만 바다 또한 대한민국의 영토다. 대한민국 영토 중 육지 면적은 10만㎢지만, 해양 영토는 43만8000㎢로 육지 면적의 4.4배에 달한다. 이 넓은 영역을 국가가 오롯이 혼자 책임지지 못하기 때문에 어촌과 어민들이 24시간 국토를 수호하는 파수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어촌은 국민에게 신선한 수산물을 공급하는 역할도 하지만 바다 환경을 가꾸고, 국가의 안보를 지키며, 해상구조 활동을 벌이는 등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다양한 공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유익한 어촌이 점차 소멸하고 있다. 과거 1980년대 72만 명이던 어가 인구는 수산자원 감소와 인구 유출로 2021년 9만3800명으로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인구 감소와 더불어 지난해 기준 어가 인구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58.4%에 이를 정도로 고령화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는 2045년 국내 어촌의 81.2%가 소멸 고위험지역이 될 것이란 자료도 제시한다. 지속된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어촌 지역의 의료, 생활서비스 등 주거환경을 악화시켜 또다시 인구 유입을 저해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어촌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어촌 정주 여건 개선, 귀어귀촌 장려 등 어촌으로의 인구 유입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수협에서도 어촌 체험 캠프와 같은 체험 활동을 통해 우리 어촌의 소중함과 가치를 전파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과 함께 또다시 위기가 찾아왔다. 수산물 소비가 감소하고 바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쌓이면서 어촌 소멸이 더 가속화할 우려가 크다. 이는 단순히 어촌과 수산업의 쇠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음을 뜻한다. 어촌을 지키는 방법을 고민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