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달 동안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갈아타기가 이뤄진 대출자산 가운데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대출 비중이 약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금융권에서 같은 1금융권으로 옮긴 대출자산이 90% 이상이었다. 차입자의 이자 부담을 줄이겠다는 목적으로 정부 주도로 도입한 대환대출 인프라의 혜택이 중·저신용자보다는 고신용자에게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금융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가 도입된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30일까지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이동한 대출자산은 668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1금융권 대출로 이동한 2금융권의 대출자산은 315억원으로 4.7%에 그쳤다.
같은 기간 대부분 대환대출은 1금융권 사이에서 이뤄졌다.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갈아타기 한 대출자산이 6161억원으로 전체 대환대출의 92.2%에 달했다. 2금융권에서 2금융권으로 옮긴 자산은 169억원(2.5%)으로 집계됐고, 1금융권에서 2금융권으로 이동한 대출은 39억원(0.6%)으로 조사됐다.
대환대출이 발생한 건수를 기준으로 같은 기간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대출이 2만2052건으로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한 전체 대환대출 2만6883건의 82%를 차지했다.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옮겨간 대출은 2352건(8.7%)에 그쳤다.
저축은행, 카드사 등이 포함된 2금융권은 시중은행이 주축인 1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게 정해진다. 2금융권 대출을 받는 차주는 대부분 중·저신용자로,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대출자산이 적다는 것은 대환대출 인프라를 써도 중·저신용자는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작다는 것을 뜻한다. 다만 그동안 고객 유출을 우려해 대환대출 플랫폼에 입점하기를 꺼리던 카드사들이 속속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를 선언하면서 2금융권 사이의 금리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