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영 센터장 "생성형 AI 시장…'데이터 부자' 금융사에 절호의 기회"

입력 2023-05-31 17:18
수정 2023-05-31 17:20
챗 GPT(Chat GPT)로 촉발된 이른바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에서 금융사도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단 의견이 나왔다. 특히 '많은 양질의 데이터를 가진 회사'가 시장의 우위에 설 것이란 분석이다.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3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글래드호텔 블룸홀에서 열린 '한경 모바일 서밋' 콘퍼런스에서 ''금융 DX의 새로운 동력, 생성형 AI'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오 센터장은 "지난 3월 16일 마이크로소프트가 '365 코파일럿'(Copilot)을 공개하면서 생성형 AI가 '호기심'(Toy) 에서 '도구'(Tool)로 바뀌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찍이 챗 GPT 개발사인 오픈 AI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관심을 기울여온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자사 업무 생산성 도구에 차세대 AI 기술을 본격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오 센터장은 이를 두고 "시장에서 생성형 AI를 '사업'으로 발전시킬 생각을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오 센터장은 챗 GPT가 모든 산업군에 영향을 줄 것이지만, 시장이 이제 막 생성된 만큼 부작용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수많은 GPU 반도체 칩이 요구되는데 현실적인 여건을 갖추지 못한 회사가 많은 데다, 데이터 학습·운용 지출 비용도 막대하기 때문이다.

오 센터장은 "생성형 AI 모델을 돌리기 위해선 가장 먼저 장비를 구입해야 하는데, 여기에만 최소 9개월가량의 시간이 든다"며 "장비를 마련하고 필요한 학습데이터들을 확보하는 것들조차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오 센터장은 데이터와 인프라 등 자원이 이미 확보된 금융사엔 되레 시장을 선점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그는 블룸버그와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을 거론했다. 이들 기업은 챗 GPT 기술의 중요성을 빠르게 인지하고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 초거대 언어모델 원천 기술 내재화와 업무 적용에 힘을 쏟고 있다. 블룸버그는 40년간의 금융자료로 자체 모델을 내재화해 통해 다양한 금융업무 수행 기술을 구축했고, 골드만삭스 은행은 내부 프로덕트 개발에서 생성형 AI 도구를 사용해 코드 생산성을 40% 높였다.

오 센터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데이터"라면서 "여러 업종 가운데 금융회사들이 자체 데이터가 많은 만큼 생성형 AI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GPT에선 그간 사용자 정보들을 사용해 왔지만, 올 3월 기준으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지 않겠단 정책을 공개했다. 개인정보 불법 수집 등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졌기 때문"이라며 "데이터를 많이 보유한 금융회사로선 더 유리한 환경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오 센터장은 다만 명확한 동기 없이 생성형 AI 사업에 섣불리 뛰어들지 말라고 조언했다. 오 센터장은 "회사가 궁극적으로 생성형 AI 도입을 통해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 정해두지 않는다면 사업은 의미가 없다"며 "회사만의 전략과 데이터 확보, 기술의 빠른 적용을 통해 '퍼스트 무버'가 될 것인지, '패스트 팔로워'가 될 것인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사진=변성현 한경닷컴 기자 byun8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