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사이에서 혜택이 많아 ‘알짜 카드’로 불리는 신용카드들이 잇따라 단종되고 있다. 무이자 할부 혜택도 축소되는 추세다. 수익성이 악화한 카드사들이 내놓은 궁여지책이란 의견이 많다. 수년째 이어진 정치권의 수수료 인하 압박에 따른 ‘나비 효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제로 모바일 에디션2’ 할인형과 포인트형 2종의 발급을 오는 31일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이들 신용카드는 결제금액의 1.5%를 할인해주거나 2.5%를 포인트로 적립해주는 등 혜택이 컸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서비스 개편을 위해 카드 발급을 중단한 것”이라며 “기존 고객은 유효 기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최소 35만원을 사용하면 총 5만원의 캐시백을 제공하는 카카오뱅크 신한카드도 발급이 중단됐다. 실적 조건이 없는 데다 매달 5000원 이상 70회를 사용하면 사용금액의 15%를 캐시백해줘 혜택이 컸다. 신한카드는 캐시백 5% 혜택을 주는 ‘신한 딥에코 카드’ 역시 신규 발급하지 않고 있다.
카드사들은 무이자 할부 혜택도 축소하고 있다. 신한카드와 삼성카드는 작년 말부터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3개월로 줄였다. 현대카드는 현대자동차 구입 때 제공하던 1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3개월로 단축했다.
카드업계가 소비자 혜택을 줄인 일차적인 이유는 금리 인상과 채권시장 경색 등에 따라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카드채 금리는 지난해 연 6%대까지 치솟았다가 올해 들어서야 연 3~4%대로 내렸다.
근본적으로는 정치권의 압박으로 몇 년째 가맹점 수수료가 인하되면서 카드사의 주요 사업인 ‘신용 판매’에서 수익이 크게 나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여덟 개 주요 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총 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7조7000억원)보다 2000억원(2.6%) 줄어든 수치다.
이 기간 전체 카드 이용 실적은 977조1000억원에서 12.3%(120조6000억원) 늘어난 1097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보복 소비로 카드 이용액은 늘었지만 카드사의 수수료 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애초 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대상은 연 매출 5억원 이하 소상공인이었다. 2018년부터 대상이 확대돼 지금은 연 매출 30억원 가맹점까지 수수료 인하 혜택을 보고 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