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 방역 철폐 이후 중국에 몰려들던 외국인 자금이 최근 주춤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시진핑 국가주석 독주 체제를 중장기 리스크로 꼽고 있다고 27일 보도했다. '경제·금융 허브' 상하이에 외국인이 돌아올 것인지가 중국 경제 재개의 시험대라는 분석도 나온다. 환율 급등도 부담투자정보업체 둥팡차이푸에 따르면 외국인은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을 선언한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석 달 동안 중국 본토주식을 3720억위안(약 70조260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지난달에는 월간 기준 역대 최대인 1412억위안 매수 우위를 보였다.
하지만 이달 초 미·중 간 '풍선 갈등'이 점화된 직후 매수세가 급격히 냉각됐다. 이달 24일까지 순매수는 124억위안에 그쳤다. 외국인 투자자가 주로 참고하는 CSI300지수는 지난달 7.3% 뛰었다가 이달 들어선 2.5% 하락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이달 8.4% 내렸다.
중국 채권시장에선 외국인이 계속 돈을 빼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10개월 연속 중국 채권을 순매도했다. 12월 172억위안 '반짝 순매수'에서 1월에 다시 869억위안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외국인의 중국 자산 매도에 위안화 환율은 이달 들어 3% 이상 상승(위안화 가치 하락)했다. 위안화 약세가 지속되면 외국인의 자금 이탈은 더욱 가팔라질 수 있다.
존 위더 싱가포르 픽텟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시진핑 주석의 권력 확대와 이에 기반한 정책 전환, 기업 실적 증가세 약화, 지정학적 갈등을 중국이 직면한 대표적 리스크로 꼽았다. 그는 "글로벌 투자자 상당수가 미·중 무역분쟁 이전 시절만큼 중국에 관심을 두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에토스투자의 제임스 플레처 창업자는 "견제와 균형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잘못될 정책이 나왔을 때 바로잡기가 쉽지 않다"며 "향후 2~5년 동안 중국 시장에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부유'를 내걸고 자국 인터넷, 교육 등 사기업을 압박했던 조치가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는 우려다.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자국 국유기업과 첨단기술기업에 세계 4대 회계법인과의 감사 계약을 피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도 글로벌 투자자가 중국 투자를 더욱 경계하게 된 이유로 꼽았다. 중국 인수합병(M&A)업계의 유명인 중 하나인 바오판 차이나르네상스(화씽자본) 회장이 돌연 종적을 감췄다가 열흘 만에 당국의 조사를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도 투자 심리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예측가능한 비즈니스 환경 필요"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대표 국제도시인 상하이를 찾는 외국인을 통해 중국 경제 회복 강도를 가늠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궁정 상하이시장은 "지난해 유치한 외국인 투자가 역대 최대인 235억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상하이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달 상하이에 입국한 외국인은 18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 270만명의 7% 수준에 그쳤다. 외국 기업인과 관광객이 여전히 중국 복귀를 꺼리고 있다는 진단이다. 베티나 쇤베안진 주중유럽상공회의소 상하이지회장은 "중국 당국은 투명하고 예측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가시적인 조치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씨티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일본화'를 경고했다. 중국의 경제 현황이 부동산 거품이 터지고 장기 침체를 겪은 일본을 닮아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은 1990년대 주택 주요 구매층인 35~54세 인구가 감소하면서 버블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중국도 30년 이상 지속한 '1가구 1자녀' 정책 탓에 중년 이하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다.
씨티그룹은 중국 부동산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65조달러에 달한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을 합친 것보다 클 정도로 과열돼 있다는 설명이다. 또 중국 금융권 자산의 41%가 부동산과 연계돼 있다는 점에서 부동산 거품이 붕괴하면 금융 시스템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