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지만 죽음을 마주하는 모습은 상당히 닮아 있다. 병에 걸려 목숨을 잃는 것이다. 오래오래 장수를 누리다가 자연으로 돌아가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소설가 김영하는 <작별인사>에서 ‘인간은 필멸의 존재’라고 했다. 인간은 반드시 죽기에 유한함 속에서 생의 가치를 찾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변수가 있으니 의학기술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어지간해서는 죽지 않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정 연령대에 어떤 병에 취약한지 미리 파악해 예방할 수도 있고, 어쩌다가 병에 걸린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치료된다. 가장 두려운 암조차 2035년이면 완벽하게 정복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래서 <모두가 늙었지만 아무도 죽지 않는다>의 저자는 묻는다. “당신은 아무도 죽지 않는 세상에 대해 대비하고 있나요.”
의료미래학자 오쿠 신야는 자신의 책을 통해 초고령화 사회에서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말하려고 한다. 현대의학이 앞으로 더 많은 질병을 극복하면 인류가 120세 이상 장수하게 된다는 사실은 자명해 보인다. 하지만 수명은 늘어나더라도 신체가 노화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죽지 않는 것’은 ‘불로불사’가 아니다. 인간의 장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시간은 대략 50년이라고 한다. 일본 여성의 월경이 끝나는 나이가 약 50세라고 한다. 인간의 생식 능력이 50세 전후로 쇠퇴함을 뜻한다. 인생이 길어지면 병에 걸리는 횟수도 늘어날 것이다. 오래 살수록 의료비가 더 든다.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
저자는 이제 ‘죽음을 디자인해야 한다’고 말한다. 초장수 시대에 죽음은 더 이상 예측 불가능한 존재가 아니다. 이제 노년 생활의 양이 아니라 질을 고민해야 한다. 그는 “병들었지만 죽음에 이르지 않는 시간들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라며 20가지의 현실적인 질문을 통해 노후를 고찰한다. △몇 살까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을까 △그때의 가족은 누구와 누구로 이뤄질까 △자산은 어떻게 모으고 사용할 것인가 △어떤 형태의 죽음을 어떻게 인생에 도입하겠는가 등이다. 물론 말처럼 쉽게 죽음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저자는 강조한다. “나의 마지막을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만 삶을 최대한 누릴 수 있습니다.”
방준식 기자 silv00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