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e커머스)의 국경 장벽이 낮아지면서 국내 소비자의 해외 직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과 달리 해외 소비자들이 e커머스를 통해 한국 제품을 구입하는 ‘역직구(해외직접판매)’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다. 해외로 상품을 보내는 통관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점이 중소 셀러들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적자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역직구를 활성화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온라인 해외 역직구 규모는 399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조349억원) 대비 61.4% 급감했다. 코로나19로 중국인의 한국 입국이 막혀 온라인 면세점 판매액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더라도 온라인 역직구 금액은 2457억원(2020년 3분기)→2391억원(2021년 3분기)→1882억원(작년 3분기)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같은 기간 국내 소비자의 해외 직구가 9581억원→1조975억원→1조3065억원으로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에선 국내 기업의 해외 직접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통관절차를 대폭 간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해상 운송에도 목록통관이 적용되는 국가를 늘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는 게 업계의 대표적 요구 사항이다.
목록통관은 소액 물품은 송·수하인 이름, 전화번호, 주소, 물품명, 가격 등이 적힌 송장만으로 통관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현재 한국에서 중국으로 보내는 해상 운송은 목록통관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본 등 한국 상품에 관심이 많은 주요 아시아 국가들은 아직 해상 운송에 목록통관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다만 관세청이 고시를 개정해 목록통관 수출이 가능한 세관을 3곳(인천 평택 김포)에서 34곳으로 확대하면 역직구 편의성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