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12월 12일 17:18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민연금이 정부가 환율안정을 위해 요청해온 환헤지 도입안을 받아들이기로 잠정 결론을 냈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내부적으로 정부의 환헤지 도입 요청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해 정부안을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결론을 냈다. 다만 도입 방법을 두곤 내부적으로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해외자산의 10%까지 환헤지를 도입하는 것을 운용부서에 자율적으로 맡기거나 지침으로 두는 방안 모두를 검토 중이지만 구체적 방법은 이 달 기금운용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은 2018년부터 해외투자 자산 투자시 별도의 환헤지 없이 환율변동성에 그대로 노출하는 '환오픈' 전략을 시행해왔다. 환헤지 규모가 워낙 큰 탓에 대규모 선물환 계약을 받아줄 상대를 찾기 어려운 데다 제반 수수료 등 비용 부담이 크다는 이유였다. 이 때문에 국민연금은 신규 해외투자때마다 달러를 시장에서 사들여 환율 상승의 원인이 된다는 안팎의 지적을 받아왔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1월 국회 예산결산위원회에서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이 기존 해외 자산에 대한 환헤지 비율을 확대하는 방안을 각 주무 부처가 기관에 요청하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 규모는 지난 9월말 기준 3355억달러(약 443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중 해외주식과 해외채권 자산은 각각 247조6000억원, 70조3000억원이다. 국민연금이 환헤지 비율을 10% 끌어올리면 외환시장에 추가로 공급되는 금액은 336억달러(약 44조4000억원)에 달한다.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력도 대폭 커질 전망이다.
국민연금 일각에선 환헤지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국민연금 내부적으론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세와 국민연금 내 투자자산간 자연적인 상쇄효과를 고려할 때 앞으로 2030년까진 환오픈 전략을 유지하는 게 수익률 상승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 상황에서 환헤지 도입으로 전체 기금수익률이 하락할 경우 책임소재 공방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현재 기금운용규모를 반영할 때 대규모 외화 선물환 거래를 소화해줄 곳은 한국은행 뿐인데, 정작 한국은행과의 공조가 준비되지 않았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전략적 환헤지가 적용될 경우 기금운용 수익률을 왜곡하는 부작용을 지적하는 시각도 있다. 전략적 환헤지를 도입하게되면 향후 환차손에 따른 리스크가 위험가중수익률에 추가로 반영돼 기금운용 성과 기준이 되는 목표초과수익률 범위가 늘게 된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투자자산 규모를 고려할 때 10% 비중을 모두 채울 가능성은 낮지만 연금의 수익률 평가에 활용되는 목표초과수익률의 범위는 환헤지에 따른 리스크부담을 이유로 10%에 맞춰 확대될 수 있다"며 "부진한 수익률을 가릴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