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DGIST(총장 국양) 뉴바이올로지학과 예경무 교수팀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백문창 교수팀이 ‘신개념 면역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발표했다.
기존의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를 단순히 사멸하는 정도에 그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헬퍼 T 세포(CD4+ T cells)에서 분비된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기술로 환자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흑색종과 같은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암세포 억제까지 가능한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이라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주로 중배엽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면역억제 치료 또는 일반 세포외소포체에 화학항암제를 넣어 특정 부위에 전달하는 이른바 ‘drug delivery’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연구들을 통해 T세포에서 유래된 세포외소포체가 항암 효능(종양 발달 억제)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데, 헬퍼 T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들을 활성화시키고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세포독성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 세포, 기능이 손상된 세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 교수팀은 항암 기능의 잠재력이 매우 높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던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주목했고, 이것이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과 증식을 유도하여 결국 흑색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헬퍼 T세포에 인터류킨-2와 같은 면역 활성 유도 사이토카인을 처리하면 세포외소포체가 보다 더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점이다.
연구 결과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는 비단 흑생종 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난치성 암 치료 외에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단독 치료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화학 항암제나 면역 항암 항체 치료제 등과 함께 활용될 수 있어 면역항암제로서의 응용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 교수는 “해당 기술이 난치성 암 치료의 새로운 돌파구로 활용되어 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