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바도르 달리, 바실리 칸딘스키, 마르셀 뒤샹, 잭슨 폴록….
이들은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다. 색다른 시선과 과감한 도전으로 미술사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미술사의 흐름을 바꿔놨다는 이들 거장의 작품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다큐멘터리가 있다. 리사 아모르디노 브릴랜드 감독이 연출한 ‘페기 구겐하임: 아트 애딕트’(2017·사진)이다.
다큐는 20세기 전설적 여성 컬렉터이자 예술 후원자인 페기 구겐하임(1898~1979)의 삶을 담았다. 구겐하임이 미술에 입문하게 된 이야기, 현대미술에 빠져 예술가들을 후원하게 된 과정, 파란만장한 인생사와 사랑 이야기가 다이내믹하고 흥미진진하게 그려진다. 영화에 나오는 현대미술 그림들은 모두 그가 사들인 것이다. 페기 컬렉션엔 100여 명 화가의 작품 326점이 포함돼 있다.
컬렉터로서 구겐하임을 모르더라도 그의 이름은 꽤나 친숙하다. 구겐하임재단이 운영하는 미술관 덕분이다. 재단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솔로몬 구겐하임 미술관, 스페인 빌바오와 독일 베를린의 구겐하임 미술관,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페기 구겐하임 미술관을 운영하고 있다.
페기의 할아버지는 미국에서 광산업으로 막대한 재산을 끌어모은 마이어 구겐하임이다. 구겐하임 집안은 이를 발판 삼아 미국 사회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다큐는 구겐하임 가문의 배경을 포함해 그의 삶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깊이 파고든다.
구겐하임은 20대 초반 엄청난 부를 상속받았지만 여느 상속자들과는 다른 삶을 살았다. 미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던 구겐하임이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한 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였다. 그곳에서 책과 지식인들을 접하며 유럽 예술과 문화에 눈 뜨게 됐다.
구겐하임은 이후 파리로 떠나 본격적으로 예술을 접하고 즐기기 시작했다. 그는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미술을 배웠다. 특히 뒤샹을 만나 현대예술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 작품을 보는 안목도 길렀다. 그럼에도 구겐하임이 사들인 작품은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당시 현대미술은 늘 논란의 중심에 서 있었고, 이를 사람들에게 적극 알리려 한 구겐하임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됐다. 영국의 세무관청은 구겐하임이 전시하려던 작품들을 보고 “예술이 아니다”며 통관을 거부했다.
그럼에도 구겐하임은 현대미술 작품을 끊임없이 사들였다. 제2차 세계대전 땐 급히 시장에 나온 작품들을 하루에 한 점꼴로 구입하기도 했다. 구겐하임은 그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누군가는 한 시대의 미술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보다 훨씬 오래전, 르네상스 시대를 활짝 열었던 메디치 가문이 떠오른다. 메디치 가문 사람 중에서도 예술 후원에 적극적이던 코시모 데 메디치는 이런 말을 남겼다. “메디치 가문의 영광이 사라지는 데는 50년도 채 걸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가도 예술은 남는다.”
예술의 뒤엔 늘 이들처럼 예술을 떠받치고 있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메디치의 예상과 달리, 예술도 남고 사람도 남았다. 메디치와 구겐하임이라는 이름 모두 오늘날까지 명작들과 함께 이토록 빛나고 있으니까.
김희경 기자
▷매주 금요일 발행되는 뉴스레터 ‘7과 3의 예술’을 구독하시면 ‘영화로운 예술’의 보다 상세하고 풍성한 내용을 즐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