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국·영·수엔 대한민국 미래가 없다

입력 2022-10-13 17:44
수정 2022-10-14 00:30
대한민국 입시의 ‘킹핀’이자 대입 당락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과목인 수학. 150년 전만 해도 수학은 필수과목이 아니었다. 일부 귀족만 교양 차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일반 노동자들이 수학을 배우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라는 게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 중론이었다. 분위기를 바꾼 것은 날로 첨단화한 산업혁명이었다. 모든 근로자가 ‘정량적 사고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면서 영국을 필두로 수학이 의무교육으로 바뀌었다.

한국경제신문은 최근 ‘전 국민을 인공지능(AI) 전사로’라는 슬로건 아래 대국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KT와 손잡고 AI 역량을 검증하는 자격시험도 내놓았다. 방대한 데이터에 AI를 접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찾아내는 코딩 역량을 갖춘 인재가 많아져야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전환이 빨라진다는 게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이유다. 디지털 시대는 AI가 국력 좌우일각에서는 국·영·수를 중심으로 사고력을 배양하는 게 우선이며 ‘기술’에 해당하는 코딩은 천천히, 필요에 따라 배워도 늦지 않다는 반론이 나온다. 국·영·수만으로 충분히 힘든 우리 아이들에게 새로운 짐을 지우지 말자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는 산업혁명 시대 영국의 수학 의무교육을 반대하던 사람들의 논리와 다를 게 없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데이터’와 ‘AI’다. 곳곳에 쌓여있는 데이터에 AI 도구들을 접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지가 국가와 기업의 역량을 결정하고 있다. 데이터와 AI를 다루는 역량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주어진 문제를 작게 나누고 분석해 AI를 접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테이셔널 싱킹(Computational Thinking)’이 자리 잡는 데는 다년간의 훈련이 필요하다.

S급 개발자가 모여 있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코딩 조기 교육 열풍이 불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디지털 마인드’를 일찌감치 심어 AI 친화적인 인재로 키우겠다는 게 이들의 계산이다. AI 인재 적극 육성해야AI 활용 능력이 필요한 것은 컴퓨터 전문가만이 아니다. 동네 구멍가게에서도 AI와 빅데이터를 한층 더 요긴하게 쓸 수 있다.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잘 다루면 비즈니스 모델까지 바꿀 수 있어서다. 사고의 전환과 약간의 훈련만으로도 연간 거래액이 30조원을 넘는 쿠팡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오를 수 있다.

평범한 직장인도 AI를 모르면 생존이 어려울 것이다. 지금은 전문 부서의 영역인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이 신입사원의 기본 소양이 될 날이 머지않았다. 엑셀과 파워포인트가 직장인의 기본 역량으로 자리 잡은 것과 똑같은 현상이 재현될 것이란 얘기다.

한국은 가진 것이 사람밖에 없는 나라다. 과거에는 높은 교육 수준의 인재들로 글로벌 시장에서 도전할 수 있었지만,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하면서 상황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1인당 생산성을 더 끌어올려야 현재의 지위를 지키는 게 가능하다. 다행히 해답은 나온 상태다. AI를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 한 사람이 10명, 100명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지금 한국에 가장 필요한 아젠다는 바로 ‘AI 대중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