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의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놓고 ‘헐값 매각’을 비롯한 특혜 시비가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매각가격이 한화가 2008년 인수를 추진할 당시 몸값(6조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데다 당초 입장을 바꿔 영구채 금리 상향 조정을 또다시 유예해 주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2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헐값 매각 논란과 관련한 질문에 “한화그룹으로의 매각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이것이야말로) 국민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강 회장은 “2008년 매각 추진 당시 6조7000억원이었던 기업 가치가 2019년 현대중공업과 합병을 추진할 때 1조600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며 “매각 가격을 더 받는 것보다 빠른 매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이 지난해 1조원 넘는 손실을 내는 등 기업가치가 끝없이 하락했다는 것이 강 회장의 설명이다.
하지만 국책은행이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해 지금까지 7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을 지원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헐값 매각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산은과 한국수출입은행은 2015년 1월 유상증자와 신규 대출로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지원했다. 2017년 3월엔 산은이 신용 한도 명목으로 2조9000억원의 크레디트라인(한도대출)을 해줬다.
대우조선의 조속한 매각을 위해 향후 5년간 기존 금융지원 방안을 유지하기로 한 것도 논란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산은은 수은이 보유한 2조3300억원어치 영구 전환사채(CB)의 스텝업 금리도 하향 조정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최대 연 10% 이상으로 치솟는 금리를 현 수준인 1%로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수은은 2018년 대출을 상계하는 방식으로 대우조선이 발행한 CB를 인수했다.
하지만 대우조선은 지금까지 한 차례도 수은에 이자를 지급하지 않았다. 2분기까지 1192억원의 이자를 미지급했다.
당초 수은 계획대로라면 현재 연 1%인 영구채 금리는 내년부터 5년 만기 무보증회사채 기준 수익률에 매년 0.25%포인트를 가산한 금리를 지급해야 한다. 대우조선 신용등급은 ‘BBB-’다. 같은 등급의 공모회사채 수익률은 연 10%를 웃돈다. 이렇게 되면 대우조선은 내년부터 최소 연 2300억원가량의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채권단 관계자는 “영구채 금리를 스텝업하면 현재 대우조선의 재무 상태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가 불가능해진다”며 “특혜 시비를 무릅쓰고 부득이하게 금리를 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경민/이인혁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