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전자가 혁신기술 개발과 적용을 통해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신환경경영전략’을 선언했다.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한 1992년에도 삼성전자는 ‘삼성 환경선언’을 발표했다. 삼성 환경선언이 환경 문제에 대한 지출을 필수적 투자로 보는 인식의 대전환이었다면 이번 신환경경영전략은 적극적인 행동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적극적인 혁신기술 개발과 보급, 순환경제를 위한 연구개발과 실천을 통해 환경 문제 자체를 야기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이후 국제사회는 지속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약속과 노력을 확대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기후변화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최근 2~3년 동안 지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공포와 함께 폭염, 가뭄, 초강력 태풍, 홍수 등 온갖 극단적인 기상 현상을 경험했다.
기후변화 위기 문제를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가 2050년을 전후해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에너지 소비와 공급 구조, 생산과 소비의 경제구조로 혁신적 전환을 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탄소중립 사회로 가려면 우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에너지는 화석연료가 아니라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중심으로 소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난제를 혁신기술로 풀어나가겠다는 삼성전자의 신환경경영전략은 일단 방향을 잘 잡은 것이다. 기후변화 등 환경 위기는 결국 기술로 풀어야 하는 문제여서다.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하는 삼성전자가 앞선 연구개발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 초저전력 반도체를 개발, 생산하면 적지 않은 지구환경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도체가 집중적으로 들어가는 데이터센터와 모바일 기기, PC, 가전제품 등의 전력 수요를 현재보다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 자체의 전력 소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증가가 예상되는 전력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가 크다. 또 배터리 부품 회수와 재활용, 180여 개국에서 폐전자제품 수거, 공업용수 재활용 등과 같은 순환경제의 실천과 필요 기술 개발은 원료의 채굴, 생산, 운송과 제품 생산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한다. 삼성전자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 온실가스 배출을 적극적으로 줄이고 RE100 실천을 통해 전력 생산 과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을 제로(0)화하겠다는 계획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의 이번 선언은 그동안 온실가스 감축에 수동적인 태도를 견지해 온 산업부문의 대표 기업이 전향적인 자세로 돌아섰다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지난해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기후변화 위기를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탄소 감축과 기술 개발의 직접적 당사자인 민간부문이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었다.
그러나 탄소중립은 기업들의 의지와 역량만으로 달성할 수 없다는 점도 분명하다. 정부는 기업들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해야 한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국내 조달 여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장애 요인을 제거하고 관련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 시민사회의 이해와 협조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탄소중립 이행이 본연의 경영활동을 방해하거나 경쟁력 상실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하는 국가 전체의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기후변화 위기 상황에서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녹색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최선의 방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