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직후의 대한민국 '컬러 타임캡슐'로 남았다

입력 2022-08-23 17:32
수정 2022-08-24 00:18

6·25전쟁은 전 국토를 폐허로 바꿔놨지만 민초들은 끈질지게 살아남았다. 아낙네들은 강가에서 빨래를 했고, 남정네들은 산에서 나무를 해왔다. 동란의 상처가 채 아물지 못했던 1956~1957년 서울의 이곳저곳을 컬러 사진으로 담았던 스무 살의 아가씨가 있었다. 총천연색으로 포착한 서울의 모습은 60년여간이나 빛을 보지 못했다. 컬러 필름들이 인화되지 못하고 옷장 속 낡은 가방에서 잊혀졌기 때문이었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2세 마리 앤 유 할머니(86·사진)가 필름을 발견했을 때는 일흔일곱 살이었다. 이사를 위해 짐을 옮기던 딸이 우연히 필름을 찾았다. 그의 사진 속에는 다홍색 치마에 색동저고리를 곱게 차려입은 소녀가 수줍게 웃고 있었고, 하늘색과 빨간색 페인트가 칠해진 ‘市內뻐쓰(시내버스)’가 도시를 누비고 있었다.

유 할머니는 촬영 당시 상황을 또렷히 기억하고 있다. 그는 미국 PX에서 일본 페트리 필름카메라를 25달러에 사서 서울 남대문시장과 명동 한강 농경지 등을 쏘다녔다. 그는 “모든 것이 완전히 신기했고 특별한 순간들을 포착하고 싶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영어만 할 줄 아는 젊은 한국인 여성이 카메라를 들이댈 때마다 사람들은 신기한 눈으로 바라봤다”고 했다. 그는 하와이 호놀룰루 이주 노동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1956년 어머니를 따라 한국에 와서 2년간 머물렀다.

어머니는 서울 유명 호텔의 홍보책임자로 일했고 이승만 전 대통령과도 친분이 있었다. 이 전 대통령과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그리고 당시의 고위급 정치인들이 유 할머니의 사진 속에 담길 수 있었던 이유다.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유 할머니의 사진을 잡지에 싣고 전시회 개최를 도왔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일상의 이미지와 강력한 인물들이 교차하는 그의 사진은 급변의 시기를 담아낸 ‘놀라운 타임캡슐’”이라고 전했다.

그는 2013년을 시작으로 미국 한국학회, 참전용사협회 등과 손잡고 전시회를 열었다. 최근에는 마리 앤 유 웹사이트를 통해 사진을 아카이브로 만들어 관객을 만나고 있다. 그의 사진들은 뉴욕 한인학회와 공동으로 기획한 ‘한의 감정’사이트에서 상설 전시로 볼 수 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