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4월 말부터 확산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입 경로로 한국을 지목했다. 접경지역으로 살포된 대북전단에서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됐다는 주장이다.
조선중앙통신은 1일 국가비상방역사령부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4월 중순경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 지역에서 수도로 올라온 인원 중에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이포리 지역에서 처음으로 유열자들이 집단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금강군 이포리는 남북접경 지역으로, 한국의 강원 인제군 서화면 및 양구군 해안면과 맞닿아 있다.
통신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야산에서 ‘색다른 물건과 접촉한’ 군인, 유치원생을 최초 확진자로 소개하며 “풍선에 매달려 날아든 색다른 물건들을 각성 있게 대하라”고 지시했다. 한국 민간단체가 통상 풍선에 대북전단과 구호물품을 묶어서 날리는 점을 고려하면 대북전단을 바이러스 전파 매개체로 판단한 것이다.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 시기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의 주장은 “가능성이 없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 측 민간단체가 대북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시기는 북측이 최초 접촉 시기로 언급한 4월 초보다 늦은 4월 25일과 26일”이라며 “물체 표면에 잔존한 바이러스를 통한 감염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질병관리청과 국제기구의 공통된 견해이며, 우편물 등을 통해 감염됐다고 확인된 사례도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주장은 방역 실패 책임을 외부로 돌리고 내부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로 진단했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코로나19 유입 경로로 중국을 지목할 수 없는 북한이 궁여지책으로 우리 측 접경지역을 선택한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한국을 언급하지 않은 것도 조사 결과 발표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