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13년여 만에 장중 1300원을 돌파했다. 글로벌 긴축 움직임에 경기 침체 공포까지 커지면서 원화 약세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00원을 넘어섰다. 전날보다 1원70전 오른 1299원에 거래가 시작된 뒤 약 10분 만에 1300원을 뚫었다. 장중 1300원을 돌파한 것은 2009년 7월 14일(고가 기준 1303원) 이후 12년 11개월 만이다.
전날 밤 미국 중앙은행(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인정한 데 따른 것이다. 파월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을 끌어내리기 위해 우리가 경기 침체를 자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것(경기 침체)이 분명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연착륙은 매우 도전적인 일"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경기 침체와 함께)또 다른 위험은 가격 탄력성을 회복하지 못해 높은 물가 상승이 경제 전반에 퍼지는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을 2%대로 돌려놔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을 잡을 것을 강력히 약속한다"며 "이를 위해 신속히 움직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 경제는 매우 강력하며, 강도 높은 통화 정책을 감당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의지를 내비쳤다.
미국이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운데 경기 침체가 가시화되면 수출국인 한국 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구매력이 줄어들면 수출에 타격이 될 수 있다. 원화뿐 아니라 달러 외 다른 통화 역시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고환율이 가격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다.
올해 들어 무역적자 폭은 확대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무역수지는 154억69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수출액(3238억9700만달러)이 수입액(3393억6600만달러)을 넘어서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무역적자 규모는 집계 이후 반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정부는 올해 경상수지를 450억 흑자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흑자 규모(883억달러)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규모다.
문제는 원화 약세가 고공 행진 중인 국내 물가에 영향을 미치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로,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월과 7월 물가 상승률은 지난달보다 웃돌 것이란 게 한은 전망이다. 올해 물가 상승률이 금융위기 수준인 4.7%를 상회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고물가에 고환율까지 덮치면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1일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국내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지난달 전망 경로(상승률 연 4.5%)를 상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현재와 같이 물가 오름세가 지속해서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가파른 물가상승 추세가 바뀔 때까지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13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은이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커졌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는 환율 상승에 따른 시장 불안 등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요시 시장안정조치 노력을 시행할 것"이라며 "시장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화 긴축 가속화 및 이로 인해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달러 강세가 계속되면서 원·달러 환율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주요국의 여타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