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위성을 실제 우주공간에 진출시킨다는 점에서 ‘누리호’ 1차 발사와 큰 차이가 있습니다.”
10일 장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발사체체계개발부장은 온라인 설명회에서 오는 15일로 예정된 누리호 2차 발사의 의미를 이같이 설명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사업은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에 투입할 발사체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작년 10월 21일 1차 발사를 시도했다. 이륙 후 1, 2단 분리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3단 엔진이 조기 연소 종료되면서 위성모사체(더미위성)를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실패했다.
항우연은 이후 총 2600여 개의 데이터를 정밀 분석했다. 3단 산화제(액화산소) 탱크 내부 고압헬륨탱크가 비행 중 진동으로 인해 고정부에서 이탈한 것을 확인했다. 장 부장은 “헬륨탱크 고정구조물을 보강하고 상단 덮개의 두께를 늘려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기상여건 등에 이변이 없으면 누리호 2차 발사는 15일 이뤄진다. 발사 후 127초에 1단 로켓이 분리된다. 발사 후 233초에 상단 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고, 이어 274초에 2단 로켓이 분리된다. 발사 후 897초에 고도 700㎞에 도달하면 성능검증위성이 분리된다.
성능검증위성은 조선대, 서울대, 연세대, KAIST가 제작한 4개의 큐브위성과 1개의 더미위성을 싣고 있다. 연세대가 개발한 큐브위성은 탑재된 광학 카메라로 한반도를 덮은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한다. 적외선 다중밴드 카메라가 장착된 조선대 위성은 한반도 주변의 열 변화를 감지한다. 서울대 위성은 정밀위성항법시스템(GPS)을 이용해 대기 환경을 감시하고, KAIST 위성은 초분광 카메라로 지형을 관측한다.
김진원/민경진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