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여 전 코로나19가 창궐하자 봉쇄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문제가 생겼다. 이때부터 미국, 유럽 등의 주요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중국 등 해외에서 자국으로 옮기려는 ‘리쇼어링’ 추진이 활발했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급제동이 걸렸다. 인건비 상승 등으로 미국과 유럽 기업들의 리쇼어링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리쇼어링 포기 유럽 기업 늘어
15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독일 자전거 업체 큐브바이크 등 유럽 제조기업들이 중국 등 아시아 생산기지를 유럽 본토로 옮기려던 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재작년 코로나19 여파로 공급망이 붕괴된 이후 부품 배송 시간이 크게 늘어나자 리쇼어링을 추진했다. 당초 3개월 걸리던 부품 납기가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에 따른 물류 대란으로 18개월까지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면서 공장 가동 비용이 불어났다. 유럽 기업들은 “치솟은 에너지값을 고려하면 부품을 본국에서 생산·조달하겠다는 구상은 비현실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EY가 코로나19 직후 유럽 기업 임원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80%가 리쇼어링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지난해 4월 조사에서는 20%로 뚝 떨어졌다. 최근 독일 상공회의소 조사에선 유럽 다국적 기업 중 15%만이 생산지 재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 정부 장려도 안 먹혀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자 국방물자조달법까지 동원해 반도체, 배터리 산업의 자국 내 생산시설 확충을 장려했다. 그러나 인건비 등 물가가 크게 뛰자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달 미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2% 급등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현재 미국 기업들의 리쇼어링은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며 “노동 시장이 이미 과열된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에 2차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노동 자체를 거부하는 움직임이 생겨나면서 미국 기업들이 심각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 마당에 생산 공장을 본토로 이동시키면 인건비 상승만 부추길 것이란 지적이다.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아디다스는 2020년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 미국, 독일로 생산공정 설비를 옮겨놓겠다는 계획을 취소한 이후 현재까지도 “리쇼어링은 절대불가”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캐스퍼 롤스테드 아디다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FT에 “아시아에서 30년 넘게 정착한 공급망을 통째로 본국에다 옮겨놓을 수 있다는 생각은 ‘완벽한 착각’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공급망 다변화, 재고 비축 등이 대안”사메라 파질리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부국장은 “기업들이 공급망 탄력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 반드시 리쇼어링만이 정답은 아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는 기업들이 공급망을 회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리쇼어링 외에 공급망 다변화, 과잉 재고 등을 제시했다. 이미 코로나19 이전보다 매출 대비 재고 비율을 평균 5%가량 높게 잡은 기업이 적지 않다고도 전했다.
독일 해운사 하파그로이드의 롤프 하벤 얀센 CEO는 “앞으로 적시 생산 방식보다 재고를 더 많이 쌓아두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3일 보고서에서 “해외 공급 의존도를 낮추려는 일부 국가의 시도는 시기상조일 수 있다”며 “공급처 다변화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테슬라와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등이 반도체 등 부품 조달원을 넓히려는 노력을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김리안 기자
■ 리쇼어링(reshoring)
인건비 등 각종 비용 절감을 이유로 해외로 나간 자국 기업이 다시 국내에 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제조업의 본국 회귀’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