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 외에는 안심할 수 없다.”
국내 주요 대기업이 미래 먹거리로 꼽은 수소산업에 대한 전문가들의 총평이다. 일찌감치 수소차에 공을 들여온 현대자동차, 국내 수소 연료전지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두산퓨얼셀 등이 세계적인 기술을 갖춘 것은 분명하지만 청정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분야는 글로벌 톱클래스 기업과의 격차가 상당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신문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수소산업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심층 설문조사한 결과를 3일 공개했다. 수소 밸류체인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추천을 받아 전문가들을 선정했다. 이들은 “향후 10년간 수소산업이 다섯 배(응답자 답변의 평균값)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각국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소를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한국 수소산업의 경쟁력을 묻는 항목엔 ‘비교적 높음’(66.7%)이란 답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수소 밸류체인별로 편차가 컸다. 각 분야 1위 국가의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수소차’ 분야 경쟁력은 만점인 100으로 조사됐다. 연료전지도 85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저장운송은 65.9, 청정수소는 51.7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청정수소 생산의 핵심인 수전해와 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소의 대부분은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와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다. 이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수소는 생산 과정에서 상당량의 탄소를 배출하는 ‘그레이 수소’다. 시장에서는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물을 분해해 얻는 ‘그린 수소’와 그레이 수소에 CCS 기술을 적용한 ‘블루 수소’만 청정수소로 분류하고 있다.
수소 밸류체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6명), 독일 린데(3명), 두산퓨얼셀(2명) 등이 꼽혔다. 현대차는 글로벌 수소차 시장 1위 기업으로 2020년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74.4%(SNE 리서치 기준)에 달했다. 지난해 도요타의 분전으로 점유율이 51.2%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독일 린데는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로 액화 수소 제조와 관련한 표준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수소를 원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의 선두주자 중 하나다. 그 밖에 SK그룹이 지분투자를 단행한 수소 지게차 업체 미국 플러그파워 등이 주목해야 할 기업으로 거론됐다.
향후 정부가 중점을 둬야 하는 요소를 묻는 항목엔 ‘경제성 확보’(80.0%)라는 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수소의 공급가격을 내리고 수소 관련 인프라를 늘려야 한다는 얘기다. ‘연구개발(R&D) 확대 및 인력 양성’(13.3%), ‘규제 개혁’(6.7%) 등도 과제로 꼽혔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