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G90, 북미·중국 출격…글로벌 年 2만대 판다"

입력 2022-01-13 17:19
수정 2022-01-14 01:27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은 “신형 G90를 한국에 이어 북미, 중국, 중동 등에 출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연 평균 2만 대를 판매하겠다”고 밝혔다.

장 사장은 지난 11일 경기 용인시 제네시스 수지 스튜디오에서 열린 G90 미디어 행사에서 “대형 럭셔리 세단 시장에서 G90 점유율은 2023년 8.6%로 높아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대비 점유율을 약 세 배 끌어올리겠다는 공격적인 목표다.

그는 “대형 럭셔리 세단 시장 수요는 연 평균 23만 대 수준으로 정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G90 점유율 전망치를 올린 것은 G90 신형의 경쟁력이 높아졌다는 자신감에서다. 장 사장은 “두 달간 G90를 타봤는데 고급차 고객이 원하는 ‘자신만의 공간’을 가진 느낌이 들었다”며 “(독일 완성차 업체 등) 경쟁 3사 대비 90~95%의 경쟁력을 갖췄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제네시스는 럭셔리 브랜드로서 혼다 어큐라, 닛산 인피니티의 경쟁력을 이미 초월했다”고 덧붙였다. G90는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 승객의 기분 전환을 돕는 무드 큐레이터 등 다양한 신규 기능을 갖췄다.

장 사장은 “제네시스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20만 대 이상 판매돼 럭셔리카 시장 ‘톱 10’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올해 제네시스 전체 판매 목표는 21만5000~22만 대다.

제네시스는 4분기 출시할 G90에 자율주행 레벨 3를 처음 적용할 계획이다. 법령에 맞춰 시속 60㎞ 미만에 한해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도로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장 사장은 “시속 60㎞ 이상 자율주행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며 “관련 법규는 정부와 밀접하게 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G90 전기차 출시에 관해서 장 사장은 “대형 럭셔리 세단을 전기차로 낼 계획은 아직 없다”며 “다른 세그먼트에서 새로운 전기차 플랫폼을 적용해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제네시스의 전동화 전략은 전기차뿐 아니라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수소전기차까지 같이 내놓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