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선 후보가 인공지능(AI), 챗봇(대화로봇), 메타버스 등 신기술을 활용해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산업 변화에 대응할 ‘미래 경제 대통령’이란 이미지를 선점하기 위해서다. 신기술에 익숙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겨냥한 전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6일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발족식에는 ‘AI 윤석열’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윤 후보의 영상과 음성을 딥러닝 기반 AI를 통해 스크린에 구현했다. AI 윤석열이 “너무 닮아서 놀라셨냐”며 “AI 윤석열은 윤 후보가 열어갈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와 도전을 상징한다”고 말해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AI 윤석열은 앞으로 윤 후보가 직접 가기 어려운 지역이나 시간대에 유세 차량 스크린에 등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선대위 홍보미디어본부장인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아이디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경선 때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 선거 캠프를 차렸다. 부동산 중개 스타트업인 직방이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폴리스’에 입주한 이 후보가 당시 “앞으로 가상 공간이 굉장히 중요한 경제 공간이 될 것 같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후보 지지자들은 AI 기술을 활용해 ‘이재명 챗봇’을 개발했다. 이 후보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물으면 이재명 챗봇이 스스로 답을 해준다. 예컨대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은 누구의 잘못이냐’고 질문하면 “성남시 공공개발 추진을 막은 것도 국민의힘, 뇌물을 받은 것도 국민의힘”이라고 대답한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인재 영입 1호로 AI 대변인 ‘에이디’를 내세웠다. 자신의 AI 아바타는 ‘윈디’로 이름을 붙였다.
선거운동에서 이런 혁신 기술이 도입되는 것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선거 비용을 줄이고, 유권자들과 소통을 늘릴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지만 “이미지 조작으로 유권자의 판단을 흐릴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나온다.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AI 아바타의 경우 선거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가짜 뉴스처럼 딥페이크 영상이 대선 후보의 메시지를 왜곡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