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원도 헤지펀드처럼 굴려줘…로보어드바이저 3社 자산 1.7兆

입력 2021-11-24 17:14
수정 2021-12-02 15:37

로보어드바이저 앱 핀트의 도움을 받아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에 90만원을 투자한 20대 A씨. 지난 1년간 18.6%의 수익률을 올렸다. 핀트는 인공지능(AI)으로 개인의 투자 성향을 분석해 맞춤형 투자 전략을 제공한다. 코로나19 이후 초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로보어드바이저 핀테크 업체들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선두주자인 파운트와 핀트의 관리자산은 지난 9월 말 기준 9835억원을 기록했다. 두 회사의 앱에서 앱에서 계좌를 열고 자산을 운용 중인 이용자는 15만7000명이며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주축이다.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크게 투자자문형과 일임형으로 구분된다. 자문형은 종목이나 매수·매도 타이밍 등을 추천만 하고, 일임형은 말 그대로 AI가 알아서 돈을 굴려주는 방식이다. 핀트는 일임형 업체다. 지난해까지 자문형 서비스만 제공하던 파운트는 올해 일임형도 선보였다.

이용자는 먼저 안전 추구형인지 위험을 감수하는 편인지 등 투자 성향을 진단받는다. 각자의 성향과 투자 금액 등에 맞춰 AI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조다. 투자금액이 10만~300만원일 정도로 진입장벽이 낮다. 소액으로도 은행·증권사의 프라이빗뱅킹(PB)에 버금가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MZ세대에서 입소문을 탔다.

관리자산 8924억원인 파운트는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출신인 김영빈 대표가 2015년 설립했다. 투자 거물인 짐 로저스가 엔젤투자자로 참여했다. 최소 10만원부터 펀드와 국내외 ETF, 연금 등 다양한 상품의 일임·자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2024~2026년께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하고 있는 파운트의 기업가치는 약 2400억원으로 평가받는다. 김 대표는 “몸값을 1조원(유니콘 기업)으로 끌어올린 뒤 상장할 것”이라며 “투자 상품군에 대체불가능토큰(NFT)을 포함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파운트는 최근 직접 메타버스와 구독경제 관련 ETF를 만들어 뉴욕증시에 상장시킨 것으로도 화제를 모았다. 그는 “앞으로도 장기간 우상향할 수 있는 ETF 상품을 내놓을 예정”이라며 “최근 2년간 마이너스 수익률을 본 고객은 1%에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최소 수익률 보장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파운트는 우리은행과 삼성생명 등 20개 금융회사에도 AI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퇴직연금 시장 열리면 ‘퀀텀점프’”안정적이고 대중적인 투자일임 서비스를 표방하고 있는 핀트는 ETF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한다. 작년 말 32만 명이던 앱 가입자가 이달 59만 명으로 급증했다. 전체 이용자의 78%가 2030세대다. 이용자들의 초기 평균 투자일임금은 83만원이지만 추가로 돈을 더 넣은 금액 평균이 276만원에 달할 정도로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부부가 핀트 운영사인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의 대주주이며, 정인영 대표와 송인성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주요 경영진도 엔씨소프트 출신이다. 핀트는 지난해 10월 엔씨소프트와 KB증권으로부터 각각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최근 KB증권과 제휴해 연금저축 서비스를 내놓은 데 이어 내년 초 맞춤형 경제뉴스를 전달해 주는 큐레이션 서비스도 출시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300조원 규모의 퇴직연금 시장이 로보어드바이저에 열리는지 여부가 업계의 ‘퀀텀점프’를 이끌 변수로 보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투자일임사가 퇴직연금을 취급할 수 없도록 하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그러나 국회에는 퇴직연금으로 랩어카운트 등 투자일임형 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대표발의)이 계류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AI가 가장 강점을 보일 수 있는 게 중장기 투자”라며 “퇴직연금 시장이 열리면 업계가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혁/김대훈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