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모바일 보험 서비스·건강관리…보험 앱의 스마트한 진화

입력 2021-11-01 15:36
수정 2021-11-01 15:37
보험업계에 인슈어테크(보험+기술)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보험사 앱도 스마트하게 진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언더라이팅 시스템, 모바일 보험 서비스·미니 보험 가입 플랫폼 등이 잇따라 등장한 데 이어 보험사 앱으로 개인 건강관리까지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다.

1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최근 생보사들은 업무 분야마다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소비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언더라이팅’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언더라이팅이란 보험사가 고객과 계약 체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종 심사 과정을 뜻한다. 계약자가 작성한 청약서상 고지의무 내용이나 건강진단 결과 등을 토대로 심사가 이뤄진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가입심사 예측 모델과 심사 규칙 시스템을 결합했다. 이에 따라 신계약의 80%를 자동 승낙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BNP파리바카디프생명도 전문 언더라이팅 시스템을 도입했다. 별도의 심사 없이 청약서 이미지와 수집된 정보만으로도 자동 심사 승낙이 가능한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모바일을 활용한 비대면 보험 청약 및 보험금 청구 절차도 대폭 개선됐다. ABL생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험을 청약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개발했다.

온라인 미니보험 가입 플랫폼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해당 생보사에서 판매하는 모든 보험 상품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인터넷 플랫폼도 선보이고 있다. 메트라이프생명의 온라인 플랫폼에 접속하면 암, 재해, 교통재해 등 미니보험 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보험사 앱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도 눈여겨볼 만하다. 한화생명은 디지털 건강관리 서비스 앱 ‘헬로’를 운영 중이다. 고객의 건강검진정보와 일상생활 속 건강정보(활동량, 영양상태, 수면정보 등)를 기반으로 다양한 건강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통신사 제휴를 통해 건강 관련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