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빨강, 노랑…. 알록달록 색의 향연이 펼쳐져 있다. 프랑스 화가 앙리 마티스(1869~1954)가 그린 ‘모자를 쓴 여인’(사진)이다. 풍경화가 아니라 인물화에 이토록 다양한 색이 담겨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옷과 모자뿐 아니라 얼굴도 알록달록하다. 심지어 초록색이 많이 사용됐다. 이 그림은 마티스가 자신의 아내 아멜리에를 그린 것인데, 관람객은 물론 아멜리에조차 그림을 보고 화를 냈다고 한다. 자신의 얼굴이 초록색이니 그럴 법도 하다. 미국 평론가인 레오 스타인도 신랄한 혹평을 내놨다. “지금껏 내가 본 것 중 가장 형편없는 물감 얼룩이다.”
그런데 스타인은 이렇게 말하고도 마티스의 그림을 구매했다. 미술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을 직감한 것이다. 마티스는 이후에도 혹평에 시달렸지만 다양한 실험과 작업으로 큰 화제를 몰고 다녔다. 그리고 마침내 ‘색의 마술사’라는 별명을 얻었고, 파블로 피카소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화가가 됐다. 인물의 내면을 색으로 분출하다마티스가 그림을 처음 시작한 건 21세 때다. 다른 화가들에 비해 한참 늦은 나이다. 그가 그림을 접한 건 정말 우연이었다. 장소도 독특했다. 학교도 집도 아닌 병원이었다. 마티스는 당시 맹장염 수술을 한 뒤 입원해 있었다. 그의 어머니는 지루해할 아들을 위해 그림 도구를 사줬다.
그런데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났다. 그는 재미 삼아 그린 그림에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뜨겁고 묵직한 열정을 느꼈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화가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가족들은 법조인이던 그가 갑자기 화가가 되겠다고 하니 크게 반대했다. 그러나 마티스의 열망은 이 장벽도 뛰어넘었다. 그는 그림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위해 나고 자란 북프랑스 카토에서 파리로 훌쩍 떠났다.
마티스는 새로운 시선으로 ‘색’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전 화가들은 형태를 묘사하는 법에 대해 다양한 시도와 변형을 해 왔다. 하지만 색을 표현하는 데 있어선 일정한 규칙을 지켰다. 눈에 보이는 색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마티스는 색을 해방시키기 위해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었다. 초록과 빨강, 노랑과 보라 등 강렬한 원색과 보색 대비를 전면에 내세웠다. 또 정교하고 꼼꼼하게 색을 칠하기보다 거칠면서도 자유분방하게 붓질을 했다. 주관적인 인물의 내면과 감정을 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마티스의 그림을 본 한 비평가는 “마치 야수처럼 포악하고 거칠다”고 혹평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런 시도는 마티스뿐 아니라 앙드레 드랭, 모리스 드 블라맹크 등 다른 화가들에게 확산됐다. 그렇게 ‘야수파’가 탄생했다. 무지개처럼 다채로운 도전그는 색의 해방으로 유명해졌지만 여기에만 몰두하지 않았다. 마티스의 목표는 파격 자체가 아니었다. 오히려 균형감과 편안함을 지향했다. 마티스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꿈꾸는 것은 균형과 평온함의 예술, 즉 안락의자처럼 인간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예술이다.” 니스의 아름다운 지중해 풍경을 담은 ‘니스의 실내 풍경’, 행복하고 평온함이 가득한 ‘삶의 기쁨’ 등엔 그의 철학이 잘 담겨 있다.
마티스는 72세 때 십이지장암에 걸려 큰 수술을 받고 더 이상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됐다. 하지만 그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마티스는 또 다른 색의 마술을 시작했다. 종이에 물감을 칠한 다음 잘라서 풀로 붙인 것이다. ‘이카루스’ ‘푸른 누드 Ⅱ’ 등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그가 85세에 세상을 떠나자, 피카소는 말했다. “나를 괴롭히던 마티스가 사라졌다. 내 그림의 뼈대를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이 마티스다. 그는 나의 영원한 멘토이자 라이벌이었다.”
마티스가 시도한 ‘색의 마술’이 통할 수 있었던 건 수많은 색깔만큼 다양한 도전을 했기 때문이 아닐까. 알록달록 무지개 같은 마티스의 삶과 철학은 그림으로 남아 우리의 마음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다.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
<7과 3의 예술 미리보기>
<7과 3의 예술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