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임박해진 기후전환 금융상품…'판' 커지는 지속가능금융 시장

입력 2021-10-19 21:05
수정 2021-10-19 21:09
이 기사는 10월 19일 21:05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지속가능금융 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녹색금융에 대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후전환 금융상품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기후전환 금융 인증 평가방법론을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금융상품에 대한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국내 신용평가사가 기후전환 금융 인증 평가방법론을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평가방법론이 구축됐다는 건 기후전환 금융상품이 시장에 도입될 기초적인 환경이 조성됐다는 의미다.



기후전환 금융상품에 신용평가사의 공식적인 신용등급이 부여되면 자산운용사·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들 입장에선 투자 용이성이 더 높아진다. 기업들로선 예컨대 기후전환 채권 발행 등이 가능해지면 친환경 사업 관련 자금 조달을 위한 새로운 채널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기후전환 금융상품이란 기업이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목표와 전환 경로를 설정하고 주요 평가 요소를 충족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주요 평가 요소는 기업의 기후전환 전략과 사업 모델의 환경 중요성, 이행 과정의 투명성 등이다. ESG 채권 분류에 따른 투자만으로는 탄소중립 달성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 기후전환 금융상품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탄소중립 등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오는 2030년까지 에너지와 산업 등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6조9000억달러(한화로 약 8131조6500억원)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녹색채권 등 녹색 금융상품 발행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된 활동에 대한 투자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게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탄소집약적 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부문에 걸쳐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하는 게 탄소중립의 중요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 기후전환 금융을 통해 탄소집약적 산업의 전환 활동을 지원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조헌성 한국기업평가 ESG평가센터장은 "글로벌 지속가능 금융상품의 다양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국내 지속가능 금융상품 시장의 확대를 위해 선제적으로 기후전환 금융 인증 평가방법론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