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용 클라우드 속속 철수…기업·공공시장 경쟁 세진다

입력 2021-10-05 17:03
수정 2021-10-06 03:31
통신 3사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개인용 클라우드 시장에서 줄줄이 손을 떼고 있다. 대신 기업들이 기업·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선택과 집중’을 하기 시작하면서 기업·공공 시장 경쟁이 한층 가열되는 분위기다.

국내 개인 클라우드 ‘줄철수’5일 정보통신(IT)업계에 따르면 최근 두 달간 국내 개인 클라우드 시장 ‘빅 플레이어’ 중 세 곳이 주요 서비스를 종료했다. 지난달 30일엔 삼성전자가 ‘삼성클라우드’를 닫았다. 지난달 27일엔 개인용 클라우드 국내 2위 사업자였던 SK텔레콤이 ‘클라우드베리’ 서비스를 종료했다. 지난 8월엔 LG유플러스가 스마트폰 전용 ‘U+보관함’ 서비스를 끝냈다.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U+박스’도 오는 12월 1일까지만 운영한다.

개인용 클라우드 시장에 남은 대형 국내 서비스는 국내 1위 네이버의 ‘마이박스’ 정도다. ‘엠스토리지’를 운영했던 KT는 지난해 9월 시장에서 철수했다. 개인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세가 크지 않은 데다, 수익성도 높지 않기 때문이다. 일단 파일 저장용 수요만으로는 유료화가 쉽지 않다. 개인용 스마트폰·PC·USB 등이 발달하면서 단순 저장 용도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찾는 이들이 많지 않아서다.

클라우드의 주요 기능인 파일 공유도 사정이 비슷하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일반 메신저나 업무 협업툴 기능이 강화되면서 파일 공유 수요가 상당히 분산됐다”며 “클라우드를 통해 대용량 영상 등을 공유하려는 이들이 있지만, 이 서비스를 위해 서버를 운영하기엔 수지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신 각 기업이 눈을 돌리는 쪽은 기업·공공 클라우드 시장이다. 재택근무 인프라 구축 트렌드에 성장세가 높고, 단발성 서비스가 아니다 보니 장기간 안정적인 먹거리가 될 수 있어서다. 정부의 디지털전환 계획도 시장을 키우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1만여 개를 클라우드로 전환·통합하기 위해 총 86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협업’으로 틈새 노리는 구글·아마존외국 브랜드들도 이 틈을 타고 보폭을 넓히고 있다. 구글은 국내 통신사 구독 상품과 자사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 원’을 엮는 식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의 월간 구독형 서비스 ‘T우주’를 통해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독료 수입을 나누는 식이다.

글로벌 1위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AWS)는 국내 공공 클라우드 공략에 나섰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나 국가정보원 등으로부터 독자적인 보안 인증을 취득해야 해 그간 외국산 서비스에 사실상 막혀 있던 시장이다. AWS는 우회로로 국내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택했다.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을 선정해 AWS 클라우드 일부를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IT업계 관계자는 “AWS의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스타트업이 국내 공공 시장에 진출하게 하는 방식”이라며 “AWS를 사용하는 스타트업이 증가하면 향후 정부 인증 수준을 낮추는 여론을 조성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한결/김주완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