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 다음 중 국내총생산(GDP)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투자
(2) 순수출
(3) 정부지출
(4) 중간재 수요
(5) 최종소비지출<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2] 시장의 종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입장벽이 존재하면 독점시장이 생긴다.
(2) 과점시장에선 카르텔이 형성될 수 있다.
(3) 게임이론으로 완전경쟁시장을 정의할 수 있다.
(4) 시장은 판매자의 수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5) 완전경쟁시장에서 생산자와 소비자는 가격수용자(price-taker)다.<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3] A씨는 자동차 사고에 대비해 10억원의 자동차 보험에 가입했다. 그 결과 A씨는 자동차 운전 시 이전보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됐다. 이것은 어떤 현상에 해당하는가?
(1) 선별
(2) 역선택
(3) 신호발송
(4) 롱테일 법칙
(5) 도덕적 해이<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문제4] 중앙은행이 은행의 법정지급준비율을 낮췄을 때 기대되는 효과로 옳은 것은?
(1) 실업이 증가할 것이다.
(2) 저축률이 증가할 것이다.
(3) 기업의 투자가 감소할 것이다.
(4) 시중의 통화량이 증가할 것이다.
(5) 정부의 재정적자가 증가할 것이다.
▶ 9월 8일 수요일자 테샛 문제 정답
[문제1] ⑤
[문제2] ④
[문제3] ①
[문제4] ⑤<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central bank)이 블록체인 등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해 전자 형태로 발행하는 화폐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와 달리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하며 현금처럼 가치 변동이 거의 없다. 액면가격이 정해져 있고 기존 법정통화와 1 대 1 교환도 가능하므로 ‘법정 디지털화폐’라고도 불린다. 또한, 중앙은행 입장에서 실물을 발행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누가 돈을 들고 있는지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빅 브러더’ 논란도 크다.
■ 페이고 원칙(Pay as you go)
‘pay as you go’란 문장은 “현금으로 지불하다”, “지출을 수입 안에 억제하다”는 뜻이다. 페이고 원칙은 정부가 경기부양 등의 목표를 위해 지출 계획을 짤 때 재원 확보안까지 마련하도록 한 원칙이다. 페이고 원칙은 경기부양 효과가 적은 일반 경직성 부문은 과감하게 삭감(pay)하는 대신 큰 쪽으로 몰아준다(go)는 게 기본 메커니즘이다. 주요국은 인기영합성 포퓰리즘 정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재정 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페이고 원칙을 활용하고 있다.
■ 동행종합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
현재의 경기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도소매업제외),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건설기성액(실질), 수입액(실질), 비농림어업 취업자 수 등과 같이 국민 경제 전체의 경기 변동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7개 지표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