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단체도 먹고 살아야" vs "단가 오르면 양극화 초래"

입력 2021-09-09 15:21
수정 2021-09-09 15:31

"예술가들은 '눈물 젖은 빵'을 먹는다고들 하는데, 먹을 빵조차 없는 게 현실입니다."

지난 8일 서울 강동아트센터에서 열린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공청회에서 한 공연단체 대표가 토로한 말이다.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KOCACA·코카카)가 공연예술계 종사자들의 목소리를 들으려 개최한 자리였다. 이날 공청회에는 이승정 한문연 회장을 비롯해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이한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부장 등이 참석했다.

코카카가 주관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은 전국 예술단체들과 지자체 문화예술회관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공연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유통망을 구축하고, 공연제작비를 지원해준다. 매년 100억원 정도를 들여 공연 400여편을 개막하는 데 지원해줬다. 올해는 168억원이 편성됐다.

공연산업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다. 문예회관 입장에선 공연장 가동률을 높이고, 예술단체들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를 얻는다. 공연장 가동률은 1년 동안 공연장에 공연이 개최된 비율을 나타낸다. 공연 준비 기간과 철수 기간을 합산해 추산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간한 '2020 예술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퍼지기 전인 2019년 국내 공연계 재정자립도는 39%에 불과하고, 문예회관 가동률은 59%였다.

이날 논의된 중점 사안은 '기획료 보전'에 관한 내용이었다. 공연지원비용을 산정할 때 예술단체가 가져갈 몫을 뜻한다. 올해부터 사업안에 새로 추가된 항목으로 1억원 이상 공연료가 들어가면 최대 공연료의 2%까지 기획료를 보전해준다. 공연료가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일 경우에는 최대 3%, 5천만원 미만인 공연은 최대 4%를 기획료로 인정해준다. 코로나19로 시름하는 공연계에 다소 숨통이 트인 것이다.

예술단체들은 공연의 순수익인 기획료가 너무 짜게 책정됐다고 불만을 표했다. 최대 5~7%까지 높여야 한다는 것. 한 오페라단 대표는 "공연예술계 종사자들은 최소 10만 명은 넘는데,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이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이윤을 높인다고 공연계가 살아난다는 주장은 일방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기획료가 늘어나 공연단가가 높아지면 공연 횟수가 줄어든다는 주장이다. 한문연 관계자는 "공연 한 편을 무대에 올리는 데 지자체 예산도 들어간다"라며 "지자체 예산은 고정됐는데 공연료가 높아지면 자연스레 공연 횟수를 줄이게 되고 인기 공연에 수요가 쏠린다. 양극화가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