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9세 등 일반 국민에 대한 대규모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난 26일까지 예약을 마친 청장년층은 약 1014만 명이다. 이미 지방자치단체 자율접종 등으로 백신을 맞은 사람(814만 명)을 더하면 전체 18~49세 인구의 81.5%가 접종을 완료할 것이라는 게 방역당국의 예측이다. 백신 접종 궁금증에 대한 질병관리청과 전문가들(김계훈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의 답변을 질의응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젊은층은 화이자·모더나를 맞으면 심근염·심낭염에 걸린다는데, 반드시 백신을 맞아야 하나.“백신 접종을 꼭 해야 한다. 국내 접종자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감염 예방효과는 82.6%, 중증화 억제 효과는 85.4%였다. 사망 예방률은 97.3%로 백신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크다. 이에 비해 백신 부작용 발생률은 극히 낮다. 미국에서 접종 완료자 1억1400만 명을 분석해보니 심근염을 앓은 사람은 497명이었다. 100만 명 중 3.5명으로 굉장히 드물다.” ▷예전에 심근염·심낭염을 앓은 적이 있는데, 백신을 맞아도 되나.“심근염·심낭염에 걸렸더라도 보통 6개월 이내에 심장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완치됐다면 백신을 맞아도 문제가 없다. 만약 최근에 심근염·심낭염을 앓았고, 치료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급성기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완치된 경우에는.“그래도 백신을 맞는 게 좋다. 자연감염에 의해 면역력이 생겼더라도 5~6개월이 지나면 재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백신 접종 시 면역반응과 항체가가 자연감염보다 강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다만 코로나19 치료기간 중 항체치료제, 혈장치료제를 사용했다면 백신 접종까지 90일 간격을 두는 게 좋다.” ▷백신을 맞고 호흡장애 등 심근염·심낭염 증상이 나타나면 어디로 가야 하나.“심근염을 진단하기 위해선 특수 혈액검사가 필요하다. 심낭염도 심장 초음파 등 여러 검사가 필요하다. 이런 검사는 동네 의원에선 하기 어렵고, 최소한 준종합병원(의료법상 2차 병원)에는 가야 한다. 접종 후 가슴통증, 압박감, 호흡곤란, 호흡 시 통증 등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병원을 방문해달라.” ▷그 밖에 주의해야 할 것이 있나.“접종 후 일주일 정도는 고강도 운동 및 활동이나 음주는 삼가야 한다.” ▷최근 30~40대도 아스트라제네카(AZ) 잔여백신을 맞을 수 있게 했는데, 괜찮은가.“최근 코로나19 유행이 거세지면서 백신 접종을 통한 이득(예방률)이 위험(부작용 발생률)보다 높아졌다. 단 이들 연령층 모두에게 AZ을 접종하라고 권고한 것은 아니다. 접종 시기가 조금이라도 앞당기고 싶거나, 불가피하게 빨리 접종해야 하는 분들은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 한해 접종을 허용해준 것이다.” ▷부스터샷은 언제부터 맞을 수 있나. 백신 물량은 충분한가.“빠르면 4분기부터 부스터샷을 맞을 수 있다.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고령층, 만성질환자, 중증 면역저하자 등이 우선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연내 들어오는 백신은 1억9000만회분으로 전국민 2회 접종, 소아·청소년·임신부 접종을 마치고도 부스터샷을 진행할 수 있다.” ▷연령대별로 추천하는 백신이 있나.“특정 백신을 권고하진 않는다. 백신마다 이상반응의 발생률이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그렇다고 특정 연령대에 집중돼서 나타나지 않는다. 허가 연령 범위 내라면 대부분의 백신에 대해 접종을 권고한다.”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은 언제 가능한가.“위드 코로나는 적어도 예방접종률이 전국민의 70% 이상이 돼야 한다. 고령층은 90% 이상, 일반 성인은 80% 이상이 접종을 완료해야 할단 새로운 변이가 확산하지 않아야 하고, 의료대응 체계가 잘 준비돼야 하는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정하기 때문에 시점을 특정하기는 어렵다. 위드 코로나가 되더라도 실내 마스크 착용은 제일 늦게까지 유지돼야 하는 방역수칙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