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金)테크’에 대한 관심이 살아나고 있다. 막대하게 풀린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데다 주식시장, 암호화폐 등이 들쑥날쑥하는 가운데 바닥을 쳤던 금값은 지난달부터 조용히 상승세로 돌아섰다.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매력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일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순금 가격은 3.75g당 29만1000원으로, 지난 6월 말 27만8000원까지 하락했다가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국제 금 가격도 6월 말 온스당 1762달러까지 떨어진 뒤 상승 반전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온스당 1812.6달러로 마감됐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등으로 안전자산 투자 심리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고 말했다.
개인이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나뉜다. 대표적인 직접투자 방식은 개인이 금 실물을 직접 사서 보관하는 것이다. 발품을 팔아 금은방, 한국금거래소 같은 민간 유통업체를 통해 구입할 수 있고 시중은행을 통해서도 골드바를 살 수 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하나·우리·농협은행이 실물 골드바를 판매한다. 소비자가 영업점에서 골드바 구매를 요청하면 한국조폐공사와 한국금거래소를 통해 은행이 대신 주문, 전달해준다. 최근에는 수령할 영업점을 선택해 인터넷뱅킹으로도 주문할 수 있다. 단 부가가치세 10%가 붙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을 통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파는 방법도 있다. 증권사에서 금 현물 계좌를 개설해 주식 거래처럼 매매할 수 있고, 1g 단위로 소액 투자도 가능하다. 수수료가 0.3~0.6% 수준으로 저렴하고 거래 차익에 대한 양도·배당소득세 등 세금이 없다는 것이 매력적이다. 100g 이상이면 실물 인출도 가능하지만 그 시점에서 부가세 10%를 내야 하고 별도의 인출 비용도 있다.
개인이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간접투자 상품은 금 통장이다. 은행 계좌에 돈을 넣어두면 국제 금 시세와 환율에 따라 잔액이 자동으로 움직인다. 고객이 예치한 금액을 은행이 외국 은행의 금 통장 계좌에 달러로 예치하는 방식이다. 환율에 따라서도 잔액이 바뀌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0.01g 단위부터 매매할 수 있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고, 원할 때 언제든 환매할 수 있어 1~2% 거래 수수료와 15.4% 배당소득세 부과에도 인기가 꾸준하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신한·우리은행이 금 통장을 판매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단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며 “적극적인 투자 차익을 얻으려는 목적이 아니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에 넣는 것은 나쁘지 않은 전략”이라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