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최저임금 인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영세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숙련 근로자가 이탈하는 등 비용 상승으로 인한 경쟁력 저하가 불가피한 탓이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제조업 대기업의 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증가율(7.5%)을 거의 회복했다. 제조업 중소기업 생산지수는 올해 1분기 -0.2%를 기록했다. 작년 2분기 -10.2%에 이어 4개월 연속 역성장하고 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도 마찬가지다. 대기업은 올해 1분기 4.6% 성장했으나 중소기업은 0.2% 성장하는 데 그쳤다.
대·중소기업 간 노동생산성 격차가 중소기업의 생산지수 회복이 더딘 원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기연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50인 미만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은 500인 이상 기업 대비 26.6%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 319만 명 중 97.3%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였다. 최저임금 미만율은 숙박음식업 42.6%, 기타서비스업 27.6% 등 소상공인 업종에서 높았다. 외국인 인력 등 비숙련 근로자 고용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최저임금 인상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은 대·중소기업 간 격차를 더 크게 벌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영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인건비 등 비용 감소 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양옥석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임금 인상에서 소외된 숙련 인력이 이탈한다면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