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6·25전쟁을 '기념'한다니…

입력 2021-07-05 09:01
수정 2021-07-05 23:58
“6·25전쟁 기념행사가 전쟁 당시 임시수도였던 부산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서울시는 6·25전쟁 7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4일~.” 지난 6월 25일은 6·25전쟁 발발 71주년이었다. 관련 행사도 잇따라 열렸다. 그런데 이런 데 쓰인 ‘기념’이란 말은 좀 당혹스럽다. ‘기념’은 뜻깊은 일을 기억하고 간직하는 것‘기념행사’ 또는 ‘기념식’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인데, 왜 낯설게 느껴질까? 단어 용법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기념(紀念)’이란 것은 ‘어떤 뜻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않고 마음에 간직함’을 말한다. 창립 기념, 개교 기념, 무역의 날 기념식 등 잊지 말아야 할 ‘기념’이 많다. 마찬가지로 ‘기념일’은 축하하거나 기릴 만한 일을 해마다 기억하는 날이다.

핵심은 부정적(-) 개념의 일을 ‘기념’한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6·25전쟁 같은 참상을 ‘기념’한다고 하면 어색한 이유는 그 때문이다. 1910년 일제에 당한 국권피탈을 ‘기념’한다고 하면 망발이 되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우리 해군장병 46명이 희생된 천안함 피격사건도 ‘기념’하는 대상이 아니다. 좀 더 중립적 용어인 ‘추념’ 정도를 쓰는 게 좋다. 추념(追念)은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는 것’이다. 예문의 경우, 문맥에 따라 ‘맞다’ 동사를 활용해 “서울시는 6·25전쟁 71주년을 맞아 24일~” 식으로 쓰면 그만이다. 이도저도 마땅치 않을 땐 아예 ‘기념’을 빼고 “6·25전쟁 중앙행사가 전쟁 당시 임시수도였던~”처럼 써도 충분하다.

가뜩이나 우리말은 개념어가 부족한데, 단어의 의미가 흐려지면서 용법을 구별하지 못하고 아무 데나 말을 가져다 쓰는 사례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신문언어에서 범하는 흔한 오류 중 하나인 ‘역임’도 그런 사례다. 역임(歷任)은 ‘여러 직위를 두루 거침’을 뜻하는 말이다. ‘력(歷)’이 ‘여러 곳을 두루 거쳐감/지나감’을 뜻하는 글자다. ‘A, B, C 등을 역임하다’ 식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전직(前職)을 나열할 때 쓰는 말이다. 두루 거치는 게 ‘역임’…용법 정확히 알고 써야요즘 사람들은 이 단어를 ‘대변인을 역임한 뒤~’ ‘보건복지부 차관을 역임한 OOO 씨는~’ 식으로 많이 쓴다. 아마도 역임을 ‘역투(力投)’나 ‘역설(力說)’ 같은 말을 연상해 ‘(직무에) 힘껏 임하다’ 정도로 해석해 쓰는 것 같은데, 이는 잘못이다. 전직을 하나만 제시할 때는 ‘거쳤다/맡았다/지냈다’ 등 쓸 만한 우리 고유어가 많다. 문맥에 따라 ‘대변인을 맡은 뒤~‘ ’~차관을 거친 OOO 씨는~’ 식으로 다양하게 쓰면 된다.

‘초토화’의 쓰임새도 알아둬야 한다. 이즈음 장마철에 이 말을 쓰기 십상이다. 가령 “수마가 할퀴고 간 이곳은 초토화됐다” 같은 표현은 잘못이다. ‘초토(焦土)’란 불에 타서 검게 그을린 땅을 말한다. 초(焦)가 ‘(불에)그을리다, 불타다’를 뜻한다. ‘아주 다급하고 중요한 관심사’라는 뜻으로 쓰이는 ‘초미(焦眉)의 관심사’란 말이 그렇게 생겨났다. 눈썹(眉)에 불이 붙었으니(焦) 얼마나 소스라치게 놀랍고 애타는 상황일지 짐작이 간다.

폭격으로, 또는 화마(火魔)로 초토화할 수는 있어도 물난리로 초토가 될 수는 없다. 문맥에 따라 ‘쑥대밭’이나 ‘아수라장’ 등 적절한 말을 골라 쓰면 된다. 초토화는 비유적으로 ‘불에 탄 것처럼 황폐해지고 못 쓰게 된 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가령 ‘시장 개방으로 국내 축산업이 초토화할 우려가 제기됐다’ 식으로도 쓰인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수해를 당한 것을 두고 ‘초토화’라고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