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내년에 할 수도"…美 금융시장 '요동'

입력 2021-06-20 16:50
수정 2021-07-21 00:02

내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통화정책 투표권을 갖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가 “내년 말부터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2023년 금리 인상을 예고한 지난주 FOMC 점도표 결과보다 앞당겨졌다. 1980년대 초 이후 가장 거센 물가 압력 때문에 미국 중앙은행(Fed)의 선택권이 좁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2년간 Fed 물가 목표 상회”불러드 총재는 지난 18일 CNBC에 출연해 “경제 재개가 잘 이뤄지면서 좋은 해를 보낼 것 같다”면서도 “예상보다 물가상승률이 가파른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물가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Fed가 조금 강경하게 바뀌고 있다”고 했다.

불러드 총재는 Fed 인사 중 전형적인 비둘기파(통화 팽창 선호)로 꼽혀 왔다.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바이러스 징후가 사라질 때까지 통화 팽창 정책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던 그는 최근 “필요할 경우 정책을 바꿀 수 있다”며 태도를 바꿨다.

이날 인터뷰에선 한발 더 나아갔다. 그는 “내년 말까지 2년 동안 물가상승률이 2.5~3.0%에 달할 것”이라며 “일정 기간 목표치(2.0%)를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Fed의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Fed는 작년 8월 평균물가목표제(AIT)를 도입하면서 물가가 일정 기간 2.0%를 완만하게 넘어서고 최대 고용(실업률 3.5~4.0%)을 기록하면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일정 기간’의 기준이 모호하지만 내년 말엔 어떤 식으로든 이 기준을 맞출 것이란 게 불러드 총재의 예상이다.

Fed 역시 올해 근원물가(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가 3.0%로 치솟았다가 내년에 2.1%로 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불러드 총재는 “1970~1980년대 초(超)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미국 경제는 장기간 큰 고통을 받았다”며 “이게 재연되도록 놔둬선 안 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다만 월 1200억달러에 달하는 채권 매입 규모를 줄여나가는 테이퍼링 일정과 관련해선 “수개월간 더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12명의 FOMC 위원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내년엔 참석 권한을 갖는다. 신흥국에선 금리 인상 줄이어이날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연방은행 총재는 정반대 의견을 내놨다. 그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장기간 제로 금리를 유지하는 게 미국 일자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2023년까지 금리가 오르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시장은 카시카리 총재 대신 조기 긴축을 주장한 불러드 총재의 발언에 반응했다. 조기 금리 인상 우려가 부각되면서 2~3년짜리 미 국채 금리는 하루 동안 0.03~0.04%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10~30년의 장기 금리는 0.07~0.10%포인트 빠졌다.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에서다. 단기 금리가 뛰고 장기 금리가 떨어지는 플래트닝(flattening) 현상은 금리 인상기에 주로 나타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국 물가 전망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이 투자은행 등 70여 곳의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예측치를 취합한 결과 평균 3.4%로 계산됐다. 현실화하면 2008년(3.8%) 후 13년 만에 최고치가 된다. 같은 기준으로 3월에 집계했을 때 올해 전망치는 2.3%였지만 4월 2.5%, 5월 2.9% 등으로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공급망 차질에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일부 신흥국은 서둘러 금리를 높이고 있다. 물가 급등 및 미 금리 인상 신호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연 4.25%로 종전 대비 0.75%포인트 올렸다. 올 들어 세 번째다. 러시아도 최근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다. 선진국 중 노르웨이는 “9월에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예고했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