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단순한 화두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생존이 걸린 문제입니다.”
조용성 에너지경제연구원장(사진)은 9일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페스티벌(KIF) 2021’에서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이 탄소배출이 많은 수입품에 대한 탄소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을 달성하지 못하면 한국 기업들도 수출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기조는 탄소배출량이 많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며 “탄소중립 정책은 정권에 관계없는 연속성과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원장은 이어 국제적 협력을 통해 탄소중립을 목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 특성상 자체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조 원장은 “동아시아 탄소거래시장을 활성화해 탄소배출권을 확대하거나, 동아시아 슈퍼그리드를 통해 인접국과 전력망을 공유하는 방안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국민 개개인의 노력도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탄소감축의 55%가 소비 분야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조 원장은 “국민이 전기차를 많이 구입하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타고, 집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개조해야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탄소중립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보다는 어떻게 달성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고 덧붙였다.
조 원장은 2030년까지는 전기차 보급, 태양광 발전 확대 등 기존 방법을 통해 탄소감축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030년부터는 기술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전기차 보급이나 사람들의 습관 변화로 완전한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어서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