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때 세계 상위 30% 수준이던 한국의 삶의 질 지표가 4년 만에 중위권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올해 한국의 삶의 질은 개발도상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루마니아보다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부동산값 폭등 등에 따른 주거 비용과 생활비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통계 사이트 넘베오(Numbeo)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지수는 130.02를 기록했다. 평가 대상국 83개국 중 42위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생활비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넘베오는 구매력,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생활비, 오염, 안전 등 여러 분야를 평가해 삶의 질 지수를 구한다.
이번 조사 결과 한국 바로 위에는 남아공(39위), 루마니아(40위), 푸에르토리코(41위)가 있다. 남아공과 루마니아는 1인당 국민소득이 각각 한국의 15%, 43% 수준이다. 1~5위는 스위스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가 차지했다.
한국의 삶의 질 지수는 현 정부가 출범한 2017년만 해도 162.49로 67개국 중 22위였다. 불과 4년 만에 지수는 30포인트 떨어지고, 순위도 20계단이나 곤두박질쳤다. 박근혜 전 대통령 임기 동안 한국의 삶의 질 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2013년 23위(135.62)에서 2016년 21위(170.29)로 2계단 올랐다.
현 정부 들어 한국의 삶의 질 지표가 크게 악화된 데에는 주택 가격 폭등과 생활비 부담 증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넘베오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PIR은 23.63년이었다. 1년치 연봉을 한푼도 안 쓰고 부동산을 사는 데 대략 24년이 걸린다는 것을 뜻한다. 이 수치는 낮을수록 삶의 질에는 유리하지만, 한국은 비교대상국 109개국 중 12위로 상위 10% 수준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