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로 몸집 불리는 한국노총…'제1노총 선언' 서두른 이유 [백승현의 백브리핑]

입력 2021-04-28 16:36
수정 2021-04-28 16:44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28일 공공서비스노조총연맹(공공노총)과의 통합 행사를 열고 '제1노총' 회복을 선언했습니다. 지난달 19일 두 노총의 통합추진위원회 1차회의에서 이미 예고했던 내용이기도 합니다.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회관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근로자의날 기념식을 겸한 공공노총과의 통합 선언식이었습니다. 공공노총은 전국통합공무원노조, 교사노조연맹 등 약 10만3000명의 조합원이 속한 조직입니다.

두 노총은 통합선언문에서 "두 조직은 조직 간의 차이를 과감히 내려놓고 조직 통합을 이룸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여는 노동운동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한다"는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투쟁 일변도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의 차별화를 강조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후 두 노총은 올해 상반기 중 각각 대의원대회를 열어 공공노총 조직이 한국노총에 신규 연맹으로 가입하거나, 기존 한국노총 내 기존 조직과 통합하는 방식으로 통합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한국노총은 이날 행사에서 이번 통합으로 소속 조합원 수가 약 140만명에 이르렀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한국노총 조합원 수(자체집계 126만명)에 올해 초 새로 가입한 광역연맹(2만9000여명), 공공노총 조합원(10만3000여명) 등을 합한 수치입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도 "오늘의 통합으로 한국노총은 140만 조합원을 확보해 명실상부한 제1노총 지위를 회복했음을 선언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말대로 현재 노동계 판세로 보면 한국노총이 지난 2019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내준 제1노총 자리를 되찾아온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노총은 IT·게임업계, 비정규직 등을 대상으로 '저인망식' 조직 확대에 나서고 있는 반면 한국노총은 기존의 덩어리 조직을 인수합병(M&A)하는 방식으로 덩치를 키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잠깐, '제1노총'이 뭐기에 김 위원장이 이렇게 강조하는 것일까요. 한국노총은 자타가 공인하는 국내 제1노총이었습니다. 그랬기에 수백개에 달하는 정부 위원회 참여에 있어 노동계 대표로 '대접'받았고, 국가경제의 길목길목마다 판이 차려진 사회적대화 테이블의 주체로 활동해왔습니다. 그러다가 2019년 정부 공식집계(2018년말 기준 노조조직률)에서 처음 민주노총에 밀리면서 '제1노총 논란'이 생기게 됩니다. 2019년 집계에 이어 2020년 집계에서도 민주노총이 한국노총을 앞서면서 논란은 더 커졌지요. 정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집계(2019년말 기준)에 따르면 민주노총 조합원은 104만5000명, 한국노총은 101만8000명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노총이 최근 들어 제1노총 회복을 수차례 강조하는 배경에는 당장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 추천 문제가 걸려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 위원 임기가 내달 13일 만료되는 가운데, 현재 양 노총은 서로 자신들이 5명을 추천하겠다고 정부에 명단을 제출한 상태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은 9명인데 말이죠.

아무튼 최저임금위원회 위원 교체와 관련 노동계 안팎에서는 정부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현재 공식집계로 제1노총인 민주노총에 5명을 배정할지, 아니면 한국노총의 '시위'에 부응할지 주목됩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