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여년간 주식시장에서 통용되던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일본주가가 상승한다'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자 주가 폭락과 엔화 가치 급락이 동시에 발생하는가 하면 하반기에는 엔화 가치가 강세를 이어가는데 닛케이225지수가 30여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는 이변이 일어나기도 했다. 올해 들어서도 엔화 가치가 떨어지는데 주가는 정체국면에 접어들어 투자가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일본의 산업구조 변화, 미국과 일본의 금리격차, 코로나19 이후 주요국의 재정·금융완화 정책이 공식파괴의 원인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분석했다.
◆"진짜 안전자산은 달러"'엔저=일본주 상승'은 일본의 수출주도형 산업구조가 만들어낸 공식이라는 분석이다. 자동차, 전자 등 도쿄증시의 흐름을 주도한 일본 대표기업들이 수출기업이었기 때문에 엔화가치가 떨어지면 수출 대금이 늘어나 주가도 올랐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엔화 가치가 오르면 일본 기업들의 수익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전통적으로 '엔고'를 경계해 왔다.
코로나19 이후 이 공식은 3가지 국면에 걸쳐 깨졌다. 먼저 작년 3월 '코로나 쇼크'로 세계 주식이 폭락하자 엔화 가치도 따라서 급락했다. 3대 기축통화인 엔화는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면 가치가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공식이 통용되지 않은 건 "세계적인 주가 폭락으로 자금 흐름이 경색되면 무역과 금융거래 결제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는 투자가들의 공포심이었다. 투자가들이 최대 기축통화인 달러를 앞다퉈 사들이면서 엔화 가치가 떨어졌다. 금융시장에서는 '유사시에는 달러 매수'라는 20세기의 주식격언이 회자됐다.
작년 하반기에는 장기간에 걸쳐 엔화 가치가 상승하는데도 닛케이225지수가 30여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는 두번째 이변이 벌어졌다. '엔고=주가하락' 공식을 깨뜨린 요인은 미국의 금융정책으로 분석된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코로나19 여파로 미국 경제가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로금리' 정책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때문에 이미 5년째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펼치고 있는 일본과 금리 격차가 축소됐다.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가 벌어지면 금리가 높은 달러로 자금이 몰려 '강달러·엔저'가 진행된다. 거꾸로 금리차가 줄어들면서 엔화 가치가 오르고 달러 가치는 떨어졌다.
엔화 가치가 오르는데도 일본 주식이 상승한 건 코로나19 및 일본의 산업구조 변화와 관계가 있다. 외출제한과 재택근무 등으로 10여년에 걸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디지털화가 1년 남짓만에 이뤄지면서 시장 주도주가 바뀌었다. 이케다 유노스케 노무라증권 수석 외환전략가는 "엔화 환율에 주가가 좌우되지 않는 하이테크 관련 성장주들이 급등하면서 주가가 올랐다"고 분석했다.
◆환율 영향 덜받는 성장주가 시장 주도올들어 엔화 가치가 떨어지는데 주가도 정체상태에 접어드는 3번째 이변이 발생한 건 미국의 코로나19 대책의 축이 금융정책에서 재정정책으로 옮겨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1월 취임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19의 조기 수습을 위해 대규모 재정완화 정책을 추진했다.
이미 경기가 회복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강력한 재정정책을 밀어붙이자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미국의 장기금리가 이러한 우려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지난해 1% 미만이었던 장기금리가 올들어 단숨에 1% 후반대까지 급상승했다. 미일 금리차가 급속히 확대되자 달러 당 엔화가치는 한때 110엔대까지 떨어졌다.
하이테크 성장주 주도로 지난 2월 30,000선을 넘어섰던 닛케이225지수는 박스권을 유지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추락했던 경기가 어느 정도 회복되자 주요국들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축소해 유동성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엔저로 인한 상승압력과 유동성 축소 우려로 인한 하향압력이 힘겨루기를 하면서 주가가 정체됐다는 분석이다.
시장이 주목하는 부분은 코로나 이후의 엔화와 일본 주식의 상관관계다. 올들어 엔저와 주가 정체가 동시에 일어난 것을 코로나 이전의 '엔저=주가 상승' 공식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반면 '안전자산은 역시 달러'라는 20세기 금융시장의 법칙이 부활하면서 앞으로도 세계적인 주가 하락기에는 엔화 가치와 주가가 동시에 떨어지고 상승기에는 엔화 가치와 주가가 함께 회복하는 새로운 공식이 생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본의 산업구조가 변했기 때문에 '엔저=주가상승' 공식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분석도 힘을 얻는다.
일본 스스로도 수출대국, 무역흑자국의 지위를 내려놓으려 하고 있다. 일본 기업들이 노동력 인구 감소와 경제구조의 성숙화를 이유로 생산거점을 해외로 옮긴 결과 일본의 무역환경은 급변했다. 2015년, 2018년, 2019년 무역적자가 발생하는 등 무역수지가 흑자와 적자를 오가고 있다.
2016년 4조엔 수준이었던 흑자 규모가 지난해는 1조엔을 밑도는 등 흑자와 적자폭도 점점 축소되는 추세다. 무역수지가 엔화 가치에 주는 영향이 줄어드는 한편, 수출 기업들이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을 쥐락펴락하던 토양이 사라진 것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