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메가시티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지역의 청년 유출이다.”
지난달 25일 부산신항에서 열린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 전략 보고회’에서 김경수 경남지사(사진)는 메가시티의 필요성을 지역인재 유출에서 찾았다.
김 지사는 “작년 한 해 동안 경남에서 빠져나간 청년이 1만8500명, 부울경을 합해 20·30대 3만 명이 빠져나갔다”며 “청년들이 갈 만한 일자리와 그에 맞는 교육 여건을 조성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한 유일한 해법이 부울경 메가시티를 통해 경제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제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부울경 메가시티는 수도권 과밀화에 대응한 지방의 생존전략이다.
경상남도에 따르면 수도권은 전국 면적의 11.8%에 불과하지만 국내 상장 기업의 72.3%, 전국 20개 중상위권 대학 중 17개가 몰려 있다. 국내 연구개발(R&D) 투자의 69.8%, 100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는 스타트업의 9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수도권 인구는 매년 8만 명씩 증가하는 반면 경남은 매년 8500명이 감소하고 있다.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대부분이 좋은 일자리를 찾아 가는 20·30대 청년이다. 지방에서는 청년층의 유출로 성장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수도권으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집값 폭등, 교통 체증, 낮은 출산율 등으로 수도권 거주자의 삶의 만족도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데 비해 지방은 오히려 소멸 위기를 걱정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이처럼 비대해진 수도권에 시·도 행정구역 단위로 정부 공모사업, 투자유치 등을 경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 때문에 기존의 행정구역을 넘어 초광역 협력을 통해 수도권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동남권, 대구·경북권, 광주·전남권, 충청권 등 전국의 각 지역이 여야를 불문하고 서로 먼저 나서 행정통합(메가시티) 논의를 이끌어 가고 있다.
메가시티 논의를 주도하며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는 경상남도는 경남·부산·울산을 하나의 경제·문화·생활 공동체로 만들어 수도권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동북아시아 8대 대도시권으로 발전하겠다는 목표로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김경수 지사는 “부울경 메가시티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균형발전 2단계를 만들어가는 새로운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