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조 바이든 행정부도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 때리기' 정책을 이어간다. 화웨이의 주력 사업인 5세대 통신(5G) 장치에 사용되는 품목의 공급을 제한하는 기존 규정을 더 까다롭게 하면서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는 이번 주부터 화웨이에 대해 반도체, 안테나, 배터리 등 5G 장비용 부품 수출을 더 명확하게 금지하는 '5G 금지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미 행정부의 규제에도 불구, 화웨이에 대한 수출이 허용됐던 일부 업체들도 더 획일적으로 수출 제한을 받게 됐다. 매체는 "이번 조치로 인해 이전 수출 승인에 근거해 공급업체들과 화웨이 간에 체결된 기존 계약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이번 5G 금지령은 '반중(反中) 연대'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일본·인도·호주의 협의체 '쿼드'의 오는 12일 첫 화상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진 것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대중 메시지 발신이라는 차원에서도 주목된다.
이번 5G 금지령은 바이든 행정부 역시 화웨이 상대 수출에 대한 강경 노선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여러 외신들의 분석이다. 다만 이와 관련, 미 상무부 대변인은 "승인 관련 정보는 비공개에 부쳐져야 한다"며 언급을 거절했다.
화웨이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의 고강도 제재 대상이 된 대표적 기업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를 상무부의 수출 규제 명단에 올렸고, 반도체 제재도 강화했다. 화웨이는 이로 인해 스마트폰 사업 등에서 큰 차질을 겪고 있다.
화웨이는 미국의 정권교체를 계기로 자사에 대한 미국의 강경 기조 변화를 기대했지만, 바이든 행정부 역시 '반 화웨이' 노선을 강화하며 상황이 녹록치 않은 모습이다.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회장은 지난달 9일 한 행사에서 "미국의 새 행정부가 자국 기업들의 이익과 경제 발전을 위해 개방적인 정책을 품기를 바란다"며 "우리는 미국산 부품과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한 바 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