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는 사업 아냐…한 발짝만 앞서가라"

입력 2021-03-08 17:27
수정 2021-03-16 18:13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서 안정환 BNK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부사장)는 ‘심폐 소생사’로 불린다. 다니는 회사마다 펀드 수익률이 급등한 데서 나온 별명이다. LG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에서 근무할 때는 조선주에 투자해 다섯 배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그가 세운 앱솔루트투자자문에서는 고객 계좌로 연 50%의 수익을 올렸다.

BNK자산운용도 그의 심폐 소생을 거쳤다. 과거 GS자산운용이었던 BNK자산운용은 2015년 BNK금융그룹에 인수될 당시 존폐를 걱정했다. 하지만 그가 주식운용총괄로 합류한 지 1년3개월 만인 2019년 BNK자산운용은 금융투자협회가 선정한 국내 액티브 주식형 펀드 수익률 1위 운용사로 뽑혔다.

지금도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BNK자산운용 대표 펀드인 ‘BNK튼튼코리아1호(A클래스)’는 최근 1년 수익률이 65.5%(3월 5일 기준)가 넘는다. 사모펀드인 ‘BNK코어플러스1호’는 최근 1년 수익률이 145.8%에 달한다. 안 부사장에게 주식투자 비법을 물어봤다.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 잘하나요.

“모든 투자의 기본은 기준입니다. 저는 주식을 잘하는 데 크게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좋은 기업을 고르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좋은 기업을 좋은 가격에 사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매수 시점을 판단하는 작업입니다.”

▷좋은 기업이란 어떤 기업인가요.

“첫 번째 조건은 안 망하는 기업입니다. 그냥 삼성전자니까…그러면 안 됩니다. 삼성전자가 좋다는 것은 재무제표에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2004년 자본금은 8975억원입니다. 가장 최근 보고서인 작년 3분기에도 자본금이 8975억원입니다. 자본금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은 증자, 즉 주식을 찍어 팔지 않았다는 얘기입니다. 즉, 충실히 이익을 내고, 증자 없이 회사를 키우고 있어서 좋은 겁니다.”

▷바이오 같은 종목도 대박 나지 않나요.

“물론 대박 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부동산과 다릅니다. 부동산은 부채가 크지 않으면 본질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기업은 부도가 날 수 있습니다. 아무리 많이 벌었어도 한순간에 0원이 될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 등이 증자를 통해 투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하지만 증자만으로 계속 기업 활동을 영위하는 기업이라면 투자에 주의해야 합니다.”

▷좋은 가격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저는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수익비율(PER),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봅니다. PBR이 1배보다 낮고, 여기에 PER이 10배 이하면 절대적으로 싸다고 봅니다. 다만 ROE가 낮으면 PBR·PER이 낮아도 싸다고 할 수 없습니다. ROE는 어닝의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1억원으로 설렁탕집을 차렸는데 1년에 500만원을 벌면 ROE는 5%입니다. 1000만원이면 ROE가 10%가 됩니다.”

▷세 번째 원칙은 왜 중요한가요.

“제일 중요한 것은 ‘왜 지금인가(why now)’입니다. 좋은 기업을 좋은 가격에 샀어도 너무 일찍 사면 고생만 하다 팔아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2차전지, 전기차 기업을 10년 전에 샀으면 오르기 전에 팔았을 수도 있습니다. 훌륭한 투자는 한 발짝 또는 반 발짝 앞선 투자입니다. 좋은 기업이라도 100년을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 모든 투자는 투자 시점으로부터 1~2년 안에 만개하는 게 좋습니다. 사업가는 10~20년을 내다보지만 투자자는 1~2년을 보고 투자해야 합니다.”

▷매수 시점을 어떻게 판단할까요.

“자신이 잘 아는 분야와 일상에서 기회를 찾기를 추천드립니다. 생활 모든 곳에서 투자 기회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출발입니다. 저는 2001년 아내가 홈쇼핑에 빠져 있는 것을 보고 LG홈쇼핑(현 GS홈쇼핑)에 투자했습니다. 2만원대였던 주가가 1년 만에 20만원으로 올랐습니다. 2019년 4~5월에는 맥주 테라와 소주 진로이즈백을 섞어 마시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실제로 두 제품을 생산하는 하이트진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요즘 같은 시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지난 1년간 시장이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최근 시장금리 상승, 가격 부담 등의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플랫폼 등 한국 대표 기업을 보면 장기 성장성이 밝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레버리지를 줄이고, ‘빚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