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오른 식단이 없다…2월 밥상물가 상승률 9년6개월만 최고

입력 2021-03-08 07:26
수정 2021-03-08 07:28

최근 작황 부진에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와 명절 수요 증가 등이 겹치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급등해 지난달 한국의 밥상 물가 상승률이 9년6개월만의 최고치로 나타났다.

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는 9.7%로 집계됐다. 2011년 8월(11.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식자재의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크게 뛴 탓이다. 종목별로 보면 지난달 파 가격은 1년 전보다 227.5% 급증했다. 1994년 5월(291.4%) 이후 26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달걀 가격 상승률은 41.7%였다. 2017년 8월(53.3%) 이후 3년6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 외에도 사과(55.2%). 고춧가루(35.0%), 돼지고기(18.0%) 등도 가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소비자물가 역시 1년 전보다 1.1% 오르며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국 식품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월(1.8%)까지만 해도 1%대에 그쳤다. 다만 같은 해 7월 4.3%로 올라서면서 하반기 들어 오름폭을 키우기 시작했다 . 이후 식품물가는 지난해 8월(6.6%), 9월(8.3%), 10월(8.2%), 11월(6.9%), 12월(6.2%)까지 지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올 1월(6.5%)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OECD 전체 평균(3.1%)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37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1%), 칠레(7.8%), 아이슬란드(6.7%)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경기 회복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작황 부진과 AI 등 공급 측 요인으로 물가가 상승해 우려스럽지만, 물가가 적정 수준을 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심의관은 지난달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에서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요인이 있어 상승세가 이어질 것 같다는 예측은 가능하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계란·채소류 등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과 수급 여건을 집중 점검하면서, 가격 강세가 지속되는 품목을 중심으로 정부 비축분 방출과 수입 확대 등을 통해 가격 안정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