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4.3배' 신도시 만든다지만…광명시흥, 5~6년 후에나 착공

입력 2021-02-24 16:57
수정 2021-03-04 18:20

정부가 24일 발표한 경기 광명시흥지구는 그동안 3기 신도시 후보지로 꾸준하게 거론된 지역이다. 이 일대는 2010년 보금자리주택 지구로 지정됐다가 주민 반발로 2015년 지정이 해제된 이후 특별관리지역으로 관리돼왔다. 보금자리주택 지구 지정 당시 주택공급 규모가 9만8000가구에 달할 정도로 큰 부지다.

더 확실한 주택공급 신호를 주기 위해 정부가 아껴왔던 대규모 택지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광명시흥지구를 서남권 거점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다. 20분이면 여의도까지 갈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 서울 주택 수요를 분산하기로 했다.

시흥지구에 여의도보다 넓은 공원 조성광명시흥지구는 광명시 광명·옥길·노온사·가학동 811만㎡, 시흥시 과림·무지내·금이동 459만㎡ 등 총 1271만㎡ 규모다. 3기 신도시 중 가장 크다. 기존 1·2기 신도시를 통틀어도 동탄2(2400만㎡), 분당(1960만㎡), 파주 운정(1660만㎡) 등에 이어 역대 여섯 번째 규모다.

주택 공급 물량은 7만 가구다. 기존 보금자리주택을 추진할 때보다 가구 수가 줄어든 것은 지구 일부가 물류단지, 산업단지, 공공주택 등으로 개발됐기 때문이다. 보금자리지구 내 군부대 및 일부 도로도 제외했다.

정부는 이곳에 서울 도심까지 20분대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남북 방향으로 신도시를 관통하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지하철 1·2·7호선, 신안산선, 광역급행철도(GTX)-B 등과 연계한다. 북쪽으로는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남쪽으론 KTX 광명역 및 신안산선 학온역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윤성원 국토교통부 1차관은 “도시철도로는 경전철을 검토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광역교통 개선 대책은 내년 상반기 지구 지정 이후 지구계획 수립 단계에서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여의도 면적의 1.3배(380만㎡) 규모 공원·녹지도 꾸민다. 지구 내 목감천을 따라 길이 7.1㎞짜리 수변공원과 호수공원도 조성할 계획이다. 주변에 사업 추진 중인 광명테크노밸리와 연계해 자족기능도 강화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날 신규 공공택지 후보지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선 최장 5년간 토지 소유권 및 지상권 등 투기성 토지거래가 차단된다. “강남 등 서울 수요 흡수에는 한계”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신규 택지로 빠르게 공급 신호를 주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2·4 대책’에서 나온 공공 주도 사업들의 경우 물량이 유동적이다. 주민 참여가 적으면 계획보다 물량이 훨씬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신규 택지는 사실상 확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공급 물량이다.

그러나 당장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집값을 안정시키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광명시흥지구의 경우 아무리 일러도 삽을 뜨기까지 5~6년의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단기적인 집값 안정 효과는 작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광명은 강남 주택 수요를 분산시킬 수 없는 입지”라며 “강남 3구와 용산, 성동 등 서울 주요 지역 집값 불안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광명시흥지구 인근에서 개발을 진행 중인 광명뉴타운과 철산동 재건축단지들의 물량까지 합치면 광명시에서만 향후 10만 가구 이상의 새 아파트가 쏟아진다. 이 때문에 정비사업의 사업성을 우려하는 지역 주민의 반발도 사업 추진의 변수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광명시흥지구 주민도 3기 신도시 철회를 주장하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윤승모 광명·시흥주민연합체 대표는 “보금자리지구에서 해제된 이후 정부에선 주민 자율개발을 권장해왔다”며 “정작 개발을 추진할 땐 막더니 일방적으로 신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하는 건 지역 주민에 대한 배신 행위”라고 강조했다.

최진석/전형진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