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등 제조강국 기업들 자국으로 유턴하는데…한국만 '주춤'

입력 2021-02-07 13:49
수정 2021-02-07 14:07

미국 유럽 일본 등 제조에 강점이 있는 나라들이 리쇼어링(해외 생산기지의 본국 이전)을 확대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제조에 강점이 있으면서도 리쇼어링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쇼어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7일 발간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기술혁신과 리쇼어링’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제조업 혁신과 생산비용 절감 영향으로 기업들의 리쇼어링은 매년 늘고 있다.

미국은 리쇼어링 기업이 2010년 95개에 불과했던 것이 2018년 886개로 늘었다. 유럽은 2016∼2018년 193개 기업이 리쇼어링을 택했다. 일본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7633개 기업이 자국으로 돌아왔다.

이들 국가는 공통으로 기술 혁신 관련 지표에서 상위 30위 이내에 속한 제조 강국이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이 일본 5위, 독일 7위, 미국은 9위였다. 특허 대비 고위 기술 비중도 일본은 4위, 미국이 5위, 독일이 21위로 높았다.

보고서는 기업의 기술 수준이 높을 수록 리쇼어링으로 인한 자국 일자리 창출 효과가 더 크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2010∼2019년 리쇼어링으로 창출된 전체 일자리 중 고위·중고위 기술군 일자리가 67%에 달했다.

한국도 기술 혁신 지표에선 이들 국가에 뒤지지 않는다. GDP 대비 R&D 비중 2위, 고위기술 제조 수출 비중 6위, 고위기술 특허 비중 3위, 정보통신(ICT)산업 발전지수 2위 등이다. 하지만 리쇼어링 기업 수는 2019년 이후 증가세가 꺽이고 있다. 2017년 4개사에서 2019년 16개사로 4배 증가했지만, 2020년 들어선 1~8월 16개로 정체됐다. 해외 생산기지에서 최종재 생산을 하기 위한 중간재 수출도 2011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 돼 리쇼어링 성과가 주요국에 비해 미흡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제조 혁신이 리쇼어링의 밑거름이 되도록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다각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유턴 기업들에 대한 세금감면, 고용보조금 지원 외에도 ICT 기술을 활용한 기업의 제조공정 혁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