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2%대 성장을 달성한 중국 경제가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관측이 많다. 작년 1분기 마이너스로 떨어졌던 분기별 성장률은 연말로 갈수록 가파르게 상승했다. 12월에도 생산·소비·투자 등 주요 경제지표가 호조를 보였다. 다만 미국과의 갈등이 지속되고, 내부에선 부채 문제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8%대 성장 가능할까18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01조5985억위안(약 1경7287조원)으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 소매판매가 3.9% 줄었지만 산업생산은 2.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인프라 투자가 경제 반등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4분기 GDP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6.5%를 기록했다.
올해는 중국 경제가 8% 안팎 성장할 것이란 예상이 많다. 중국 정부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이 다소 보수적인 7.8%를 제시했지만, 노무라증권과 모건스탠리, 도이체방크 등 해외 투자은행(IB)은 일제히 9%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눈길을 끄는 건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다. IMF는 지난해 10월 8.2% 성장을 예상했다가 이달 8일 7.9%로 하향 조정했다. 조 바이든 차기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도 홍콩 인권 문제 등으로 미·중 갈등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내에선 중앙정부가 신용위기가 닥치기 전 대출 규모를 이미 제한하기 시작해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부터 중국 경제 성장세는 이미 둔화하고 있었다. 2010년 10.6%를 마지막으로 두 자릿수 성장은 끝났고 이후 하향세가 이어졌다. 2019년 성장률은 6.1%로 톈안먼 사태의 후유증을 겪던 1990년(3.9%) 후 최저로 추락했다. 2018년부터 본격화된 미·중 갈등도 경제의 발목을 잡았다.
수출로 고성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고 판단한 중국 정부는 올해 국제 무역(국제 순환)보다 내수 확대(국내 대순환)로 경제를 부양하는 ‘쌍순환’ 전략을 전면에 내걸었다. 공급망 혁신과 과학기술 개발 등 자립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가 생산만큼 회복되지 않아 올해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토미 셰 싱가포르 OCBC은행 중국리서치본부장은 “GDP는 크게 늘었지만 국내 수요는 여전히 중국 경제의 약한 고리”라고 했다.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 대응해 다양한 외교적 돌파구도 찾고 있다. 지난해 한국 일본 호주 등 미국 동맹국이 다수 포함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서명했고 유럽연합(EU)과의 투자협정에 합의하면서 유럽 기업들에 시장 개방을 확대했다.
2028년 미국 추월할 수도IMF가 다소 낮추긴 했지만 중국의 성장 전망치는 주요 경제국 가운데 가장 높다. 작년 성장률이 -4.3%로 떨어진 경제 규모 1위 미국이 올해는 3.1% 성장할 것으로 IMF는 보고 있다. EU 성장률은 지난해 -8.3%에서 올해는 5.2%로 반등할 전망이다.
세계 1, 2위인 미국과 중국의 격차도 그만큼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IMF의 전망치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2020년 중국의 GDP는 미국의 71%가량으로 추산된다. 처음으로 70%를 넘는 것이다.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선 2010년 당시 중국 경제 규모는 미국의 41% 수준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이 관측하는 중국 GDP가 미국을 따라잡는 시점도 2030년에서 점차 앞당겨지는 추세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는 중국이 2028년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