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신년사에서 남북한 관계와 관련해 “올해는 남북이 유엔에 동시 가입한 지 30년이 되는 해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이 국제사회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남북은 손잡고 함께 증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를 향해 철저한 무시·외면 전략을 펴는 북한에 다시 한번 화해·협력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남북 협력만으로도 이룰 수 있는 일이 많다”며 “코로나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상생과 평화의 물꼬가 트이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 한·아세안 포괄적 보건의료 협력 등에 북한이 동참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핵심 동력은 대화와 상생·협력”이라며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고 비대면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는 우리 의지는 변함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비대면 대화’ 언급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까지 염두에 둔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최근 김정은이 8차 노동당 대회를 통해 밝힌 대남 구상은 문 대통령의 제안과 큰 차이를 보인다. 김정은은 지난 9일 당대회 보고에서 “현재 남조선 당국은 방역협력, 인도주의적 협력, 개별관광 같은 비(非)본질적 문제를 꺼내 들고 관계 개선에 관심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조 바이든 미 차기 행정부와의 관계 설정에 골몰하는 북한이 우리 정부를 향해 지금과 같은 강경노선을 유지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