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의 고위 외교·안보 라인이 미국과 일본을 방문해 주춤했던 대미(對美)·대일 외교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지도자 교체기와 맞물려 생길 수 있는 외교 공백을 메우고, 관계 회복을 위한 정치적 계기를 찾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강제징용 배상 판결 등의 이슈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돌파구를 찾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났다. 외교부는 양국 외교장관이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한·미 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노력을 지속해 나가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무부는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보의 ‘린치핀(linchpin·핵심축)’인 한·미 동맹의 지속적 힘과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양국 장관의 만남은 9개월 만이었지만 시기와 방식 면에서 여러 논란을 낳았다. 강 장관은 조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 당선이 확정된 지 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미국으로 출국했다. 새 행정부와 한·미 관계 조율을 해야 하는 시점에 곧 교체될 기존 정부 외교장관과 회담한 것이다. ‘외교통’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은 “외교부 장관이 선거가 끝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현 국무장관과 당선인 측을 모두 만나는 것은 공화당·민주당 양쪽 모두가 불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8일부터 일본을 방문 중인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10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를 만났다. 박 원장은 스가 총리를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충분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그는 “스가 총리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와 한·일 관계 개선 의사를 전달하고 북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며 “한·일 양국 정상들이 문제 해결의 필요성에 공감했기 때문에 대화를 진행하면 잘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친서를 가지고 오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 원장은 이어 연말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와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서도 스가 총리와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스가 총리가 정상회의 참석 의사를 밝혔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외교가에선 박 원장의 방일로 꽉 막힌 한·일 관계에 숨통을 틔우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스가 총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와 관련해 한국이 대법원 판결로 압류된 일본 기업 자산을 매각하지 않는다고 약속해야 방한할 수 있다는 입장을 우리 정부에 통보한 바 있다.
송영찬/하헌형 기자/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