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대, 미국 건강보험 기업에 주목해야 할 때

입력 2020-11-11 09:03
수정 2020-11-11 09:05
민주당이 집권하면 대규모 부양책이 나올 것이란 기대감으로 11월 초 가치주 및 경기민감 업종의 주가 상승이 이어졌다. 또한 바이든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신재생 에너지, 반도체 장비, 건강보험 등 섹터도 긍정적 추이를 보였다. 이후 선거 결과의 최종 확정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다소간 부침을 겪고 있지만, 투자 판단에 있어 단순 정치 테마주가 아니라 긍정적 트렌드 지속이 기대되는 섹터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미국 건강보험 산업은 상당히 복잡한 구성일 뿐 아니라 한국과 상이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투자자는 상당한 거리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공단이 전 국민의 건강보험을 관리하는 단일 보험자(Single Payer) 체제를 운영중이다. 반면 미국은 개인 고객이 다수 보험사 중 원하는 기업을 선택해 가입 할 수 있고, 보험사도 의료 제공자(병원 등)와 선택적 계약을 진행하는 다 보험자(Multi Payer) 체제다.

즉, 국가가 보장하는 공보험(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등) 외에 사보험(직장보험 등) 커버리지가 존재하며 건강보험 기업은 사보험과 공보험 일부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시그나(CI), 휴마나(HUM), 앤썸(ANTM)이 대표적인 건강보험 기업이다.

건강보험 산업은 규제 산업인 만큼 정치적 리스크가 상존한다.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부각된 'Medicare For All(메디케어 포 올)'이 대표적이다.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렌과 같은 급진적 후보들은 단일 보험자 체제를 통한 건강보험 커버리지의 전 국민 확대 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해당 정책은 건강보험 산업의 근간을 위협하며 상당 부문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앞서 살펴본 정치적 리스크 사례를 고려한다면 민주당 당적을 가진 바이든 후보 수혜 업종으로 건강보험이 꼽힌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바이든 건강보험 정책은 사보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우선 바이든이 추진할 건강보험 정책의 뿌리는 오바마케어(ACA)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바마케어 무효화 노력을 기울인 것과 반대로 오바마케어 기반 하에 일부 비판 지점의 개선을 추구한다. 오바마케어의 가장 큰 업적은 미국 내 건강보험 미가입 인구비율(Uninsured Rate)을 크게 낮췄다는 점이다(2010년 15.5% a 2016년 8.6%). 해당 기조 유지에 따라 건강보험 대상자의 지속 확대를 점쳐 볼 수 있다. 건강보험 기업 입장에서는 고객 기반이 확대되는 것이다.

또한 세부적으로 공보험 커버리지 확장이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메디케어(Medicare) 기준 연령을 기존 65세에서 60세로 하향하는 방안과 퍼블릭 옵션(Public Option) 도입이 언급되고 있다. 미국 내 공보험은 연방정부 및 주정부 재원 기반으로 운영되지만 일부 공보험은 건강보험 기업을 통해서 제공된다. 실제로 사보험사가 메디케어 기본 플랜(A 및 B)에 추가적 커버리지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MA)가 전체 메디케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공보험 확대가 건강보험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이다.

사실 건강보험 섹터는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도 견고한 성장을 보였다. 다만 정권 교체 가능성에 따라 새로운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단기 대선 테마주가 아닌 장기 포트폴리오 구성 관점에서 수비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기업별 비교 지점에서 보험 가입자 구성이나 디지털 헬스케어 익스포져 등 차이가 존재하지만 규제 산업인 만큼 사업 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선도 기업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에 대한 투자만으로도 산업 익스포저를 누리기엔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유나이티드 헬스는 미국 헬스케어 섹터 내 시가총액 2위 기업으로 시가총액은 3,297억달러(한화 396조원)에 달한다(1위 존슨앤존슨, 3,745억달러). 하지만 존재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견고한 펀더멘탈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모멘텀이 기대되는 만큼 높은 주목도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