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대학입시가 요새처럼 복잡해지기 전엔 “국영수 중심으로 예습 복습 철저히 하라”가 정답처럼 쓰였다. 하지만 당시에도 이 말을 들으면 열에 아홉은 하나 마나 한 뻔한 소리쯤으로 여겼다. “그걸 누가 모르나. 뻔한 거 말고 비법을 알려달라는 건데…”라는 반응이 많았다. “차라리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가서 버스 타라고 하지”라며 투덜대기도 했다.
주식투자 붐 탓에 “주식으로 돈 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고 묻는 ‘주린이’(주식+어린이, 주식초보자)가 급증세다. 대개는 주변 사람이 답을 준다. 이런저런 이유로 유망하니까 투자하라고 종목을 찍어준다. “나도 투자했고 이미 짭짤한 수익을 올렸다”는 말까지 보태지면 망설임은 사라진다.
이런 경험은 질문을 ‘주식으로 돈 벌려면’이 아니라 ‘뭘 사야 돈 벌 수 있나’로 바꿔 버린다. 일부 주린이는 스스로 판단해보려고 주식투자 책도 몇 권 사고, 경제신문 기사도 검색하고, 유튜브도 챙겨본다. 하지만 이미 관심이 주식투자 방법이 아니라 유망 종목 찾기에 맞춰진 터라 분산투자, 장기투자는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물론 유망한 종목을 고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다만 아무리 유망한 종목이라도 단기간에 화끈한 수익을 보려고 덤벼선 원하는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 그래서 분산투자, 장기투자가 중요하다. 하지만 이 말이 나오면 ‘국영수 열심히 하라’처럼 느끼는 주린이가 많다.
최근 한국경제신문 유튜브 ‘돈도썰(돈 불리는 데 도움 되는 썰)’ 인터뷰에 출연한 이동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장기 투자 종목으로 SKC를 강력 추천했다. SKC 주가는 최근 몇 년간 4만~5만원대였다가 올 8월 장중 10만원을 넘은 뒤 7만원대까지 내려왔다. 이 연구원은 “SKC가 앞으로 보여줄 성과를 감안하면 최근 주가 조정은 오히려 매수 기회”라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의 근거로 동박 사업과 반도체 소재 사업을 들었다. 동박은 전기차 배터리용 핵심 소재다. 올해 3조원인 동박 시장이 5년 뒤엔 11조원으로 성장할 텐데, SKC가 이 시장의 10%를 차지하면 연 매출 1조원에 영업이익 3000억원이 예상돼 주가수익비율(PER) 30배를 적용하면 시가총액은 9조원이 된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SK하이닉스를 발판으로 반도체 소재 사업을 키울 예정이라서 동박과 반도체 소재의 쌍끌이 성장이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증권가의 중장기 투자 유망 종목은 비단 SKC만이 아니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합리적인 설명과 근거로 추천된 종목을 찾을 수 있다. 그런 종목들 몇 개를 추려 분산투자할 수 있다. 이렇게 분산투자 준비가 됐다면 다음은 장기투자다.
장기투자라고 하면, 일단 묻어두고 신경 쓰지 않는 걸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계좌를 자꾸 들여다보면서 일희일비하는 걸 경계하려는 의도일 텐데 그렇다고 아예 신경을 끄는 건 곤란하다. 동박 사업과 반도체 소재 사업의 성장에 기대를 걸고 SKC에 투자한다면, 경제신문 기사 등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나 반도체산업 소식에 관심을 둬야 한다. 그래야 상황이 당초 예상과는 아예 딴 판으로 흘러갈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판단할 수 있다.
단기든, 장기든 그런 대응을 잘하는 게 중요한 거 아니냐고 물을 수 있다. 단기 투자로 그런 대응을 꾸준히 잘한다면 그 사람은 분명 엄청난 투자자일 것이다. 일반적인 투자자라면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 투자에서 수익을 볼 확률이 높다. 그래서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같은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주식투자는 곧 시간을 사는 게임’이라고 강조한다.
장경영 한경 생애설계센터장 longrun@hankyung.com